현재 싱크홀 문제가 많이 대두되고 있는데 토목공학적으로 이런 싱크홀을 막을 방법은 없을까요?
저는 얼마 전에 오토바이 운전기사 사망 사고가 난 싱크홀이 위치한 지역에
거주하고 있어서 싱크홀에 대한 두려움이 있습니다.
혹시 이런 싱크홀을 미연에 예방하기 위해서
토목공학적으로 어떤 방법이 마련되고 있는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황성원 전문가입니다.
싱크홀을 막기 위해 토목공학적으로는 지반조사를 철저히 수행하여 취약 지층을 사전에 파악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지하수 관리 시스템을 구축해 지하수의 과도한 유출을 방지해야 합니다. 또한, 노후된 하수관이나 지하 시설물의
정기적인 점검과 보수가 필요합니다. 지반 보강 공법(예: 그라우팅, 파일 기초 보강 등)을 통해 지하 구조물의 안정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도시 계획 단계에서부터 지하 구조물과 지반 특성을 반영한 설계가 필요합니다.
안녕하세요. 박정철 전문가입니다.
도심 싱크홀은 주로 지하 매설물 파손이나 굴착 공사 같은 인위적 요인으로 발생하며, 토목공학은 이를 막기 위한 다양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습니다. 우선, 지표투과레이더(GPR) 등으로 지하 공동을 탐지하고 지리정보시스템(GIS)을 활용해 위험 지역을 예측하며, 지반 변위 센서로 실시간 모니터링하여 이상 징후를 감지합니다. 또한, 지반 내 빈 공간에 시멘트나 약액을 주입하는 그라우팅 공법 등으로 지반을 안정화하고, 노후된 상하수도관 교체 및 지하수위 관리도 중요하게 다룹니다. 건설 공사 시에도 안전 관리를 강화하고, 관련 기관들이 데이터를 통합하여 유기적으로 협력하는 등 종합적인 예방 시스템을 구축하여 시민의 안전을 확보하기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