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에 사람이 안살면 왜 폐허가되나요?
집에 사람이 안살면 왜 폐허가되나요? 사람이 안다니면 먼지도 없고 청소를 안해도 될것 같은데 진공상태가 아니라서 그런건가요??
안녕하세요. 이형민 전문가입니다.
사람이 살지 않는 집의 경우에는 청소를 하지 못하기 때문입니다. 청소를 하지 못하면 먼지가 쌓이면서 미생물이 생기고 집안에 구조물이 섞기 시작합니다. 그렇게 되면서 온기를 느낄 수 없고 지저분해지기 때문에 폐허로 변한다고 합니다.
안녕하세요. 박성학 과학전문가입니다.
집에 사람이 살면서 전기나 불을 사용하면 곤충이나 벌레도 잘 살지 않으며 고장난 곳도 고치고 청소도 하고 벽면에 도배도 하는데
살지 않고 방치하면 곤충이나 벌레도 쉽게 서식하고 또 고치지를 않기 때문에 부서지는 속도는 더 빠릅니다
안녕하세요. 김재훈 과학전문가입니다.
사람이 살지 않으면 집을 관리하고 수리할 사람이 없어 자연적인 요인이나 인위적인 요인에 의해 손상될 수 있습니다. 목재는 습도가 높으면 부풀거나 썩을 수 있고, 금속은 습도가 높으면 부식될 수 있습니다 외부에서 들어온 먼지에 의해 사람이 없어도 먼지가 싸일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손성민 과학전문가입니다.
집에 사람이 살지 않으면 왜 폐허가 되는지 궁금하시군요. 그 이유에 대해 설명해드릴게요.
우선 집은 사람이 살면서 사용되는 건물이기 때문에 사람이 없으면 사용되지 않는 상태로 남게 됩니다. 그래서 자연적으로 시간이 지나면서 건물의 구조적인 결함이나 노후화로 인해 무너지게 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하지만 그 이유만으로는 폐허가 되는 것은 아닙니다. 집에 사람이 살지 않으면서도 폐허가 되는 이유는 여러 가지가 있습니다. 사람이 살면서 사용하는 전기나 수도 가스 등의 시설이 정상적으로 작동하지 않게 되면서 건물 내부에서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누수가 생기면 벽이나 천장에 물이 스며들어 곰팡이가 번식하게 되고 전기가 나가면서 불이 나거나 전기 장치가 고장나는 등의 상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사람이 살면서 건물을 사용하면서 발생하는 열과 습기가 없어지면서 건물 내부의 온도와 습도가 변화하게 됩니다. 이 변화는 건물의 구조적인 결함을 악화시키는 요인이 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건물 내부의 습기가 증가하면 벽이나 천장에 물이 스며들어 부식이 발생하거나 건물 내부의 온도가 낮아지면서 건물의 구조적인 결함이 더욱 심해지는 등의 상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사람이 살면서 건물을 사용하면서 발생하는 먼지나 오염물질이 없어지면서 건물 내부의 청결도가 저하될 수 있습니다. 이는 곰팡이나 해충 등의 발생을 촉진시키는 요인이 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이유들을 고려하여 집을 관리하고 유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감사합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아래 추천과 좋아요 부탁드립니다.
안녕하세요. 김철승 과학전문가입니다.
사람이 살지 않으면
집의 유지 보수가
이루어지지 않기 때문에 자연의 영향을
그대로 받게 됩니다.
비가 오면 물이
새고 바람이 불면
먼지가 들어오고 나무가 자라면서
집을 무너뜨릴 수도 있습니다.
사람이 살지 않으면
집을 관리하는 사람이 없기 때문에
방치되기 쉽습니다.
쓰레기가 쌓이고 벽이 균열이
가고 창문이 깨지게 됩니다.
무단 침입자가 들어와서
집을 훼손하기도 합니다.
모든 물질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마모되기 마련입니다.
사람이 살지 않는 집은 관리가
이루어지지 않기 때문에 마모
속도가 더 빨라집니다.
사람이 안다니면 먼지가 없고
청소를 안해도 될 것
같지만 진공 상태가 아니기 때문에
먼지는 계속해서 들어오게 됩니다.
답변이 마음에 드신다면 좋아요와 추천을 부탁드립니다.
안녕하세요. 박준희 과학전문가입니다.
네 맞습니다. 사람이 안살면 외부의 먼지가 투입되고
집안에 온기가 빠져서 벌레나 곰팡이가 피기 딱 좋은조건이 되는데 이런가운데폐허가 되가는거죠.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