폐렴 걸리면 무조건 입원해야하는 걸까요?
7살 아들이 동네 소아과가서 진료보고 약먹고 해도 몇일동ㅈ안 열이 안떨어져 큰병원가니 폐렴이라고 입원하라는데 예전에 입원했을때 기억이 있어 안하려고 난리인데 무조건 입원해야할까요?
안녕하세요. 김수비 의사입니다.
폐렴의 중증도에 따라 달라질수있지만 아마 더 조심한 관리가 필요한 소아라 입원을 권유한거 같습니다. 병원에서 입원을 권하는 경우 우선 진지하게 고려해보시는게 좋을거 같습니다.
일반적으로 폐렴으로 입원해야 하는 경우는 다음과 같습니다.
고열이나 호흡곤란으로 산소공급이 필요한 경우
전신 상태가 좋지 않거나 탈수를 동반하는 경우
면역력이 저하된 경우
1세 미만의 영유아 폐렴의 경우
탈수증상을 보이거나 계속 토해서 약을 먹지 못할 경우
폐렴으로 입원한 경우, 약 7일 정도 후에는 대부분 증상이 호전되어 외래치료로 전환이 가능합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유민혁 의사입니다.
아이가 7살이면 폐렴은 입원치료가 원칙이에요. 특히 며칠 동안 열이 떨어지지 않는 상태라면 더욱 그렇습니다. 외래 통원치료로도 가능한 경우도 있지만, 아이들은 상태가 급격히 나빠질 수 있어서 초기에 집중 치료하는 게 중요해요. 항생제 주사나 수액 치료가 필요한 경우가 많고, 산소포화도 같은 중요한 수치들을 계속 체크해야 하기 때문에 입원이 필요한 겁니다. 보통 3-4일 정도면 상태가 많이 호전되니 조금만 참고 치료받으시길 권해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아하의 의료상담 전문가 의사 김민성입니다. 질문해주신 내용 잘 읽어보았습니다.
폐렴은 아이들에게 흔히 발생할 수 있는 호흡기 질환으로, 상태에 따라 다르게 치료가 필요합니다. 입원이 필요한 경우는 일반적으로 고열이 계속되거나 호흡이 빠르고 어려워지는 경우, 가래가 심하거나 탈수 증상이 나타날 때, 그리고 집에서의 경구 약물 치료로 증상이 개선되지 않는 경우입니다. 7살의 아이가 몇일 동안 열이 내려가지 않는다면, 폐렴으로 인한 증상이 심각할 수 있습니다. 병원에서는 이러한 상태가 지속되는 경우, 정맥 주사로 항생제를 투여하거나, 산소 치료가 필요할 수 있으며, 아이의 상태를 지속적으로 관찰하기 위해 입원을 권장할 수 있습니다. 이전 입원 경험이 불편했다 하더라도, 아이의 현재 건강 상태를 고려해 적절한 조치를 취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아이의 상태를 주의 깊게 살펴보고, 병원에서 제시한 치료 계획을 신중히 평가해 보시는 것이 좋겠습니다.
저의 답변이 궁금증 해결에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안녕하세요. 채홍석 가정의학과 전문의입니다.
업로드해주신 증상의 설명과 자료는 잘 보았습니다.
폐렴이면 약을 잘 먹고 care를 잘 하면 입원하지 않고도 충분하게 치료가 됩니다
문제는 환자(아이니까요)가 부모님의 이야기를 잘 따르지 않고 부모님도 아이들 care에 전념하지는
못하기 때문에 입원하는 것에 비하면 회복이 잘 되지 않거나 더딜 수 있습니다
그리고 그에 대한 원망은 동네소아과 선생님이 한 몸에 받을 것이기 때문에
아이들이 잘 회복하기 위하여 입원을 고려하시는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