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바다새우와하얀돌고래
바다새우와하얀돌고래

중국과 미국의 냉전체제에서 달로 우주선보내는 얘기가 나오더라구요. 돈들여서 달로 우주선을 보내는게 부가가치가 높을까요?

과거에 돈들여서 달로 우주선 보내는것이 돈만 낭비되고 사업성이 없어서 그만 뒀다고 하던데, 지금은 시각이 어찌 바뀌었나요? 부가가치가 있을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5개의 답변이 있어요!
    • 검은몽구스218
      검은몽구스218

      안녕하세요.

      미국이 다시 달로 가는 이유는 크게 2가지때문입니다

      헬륨3 선점과 향후 화성을 가긴 위한 전초기지를 세우기위함입니다

      헬륨3는 현재 활발히 연구중이 핵융합의 원료로 사용하기 위함인데 에너지 효율이 기존대비 7배이상이라고 합니다 지구에는 헬륨3가 자연상에거의 존재하지않고 인공적 생산에도 극히소량으로 상업성이 없는데 로켓기술이 발달하면서 달에서 채취해서 지구로 가져오는 것이 조만간 상업적가치가 생길거라 하네요

      그럼 답변이 되셨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과학기술이 고도로 발전한 지금,

      지구 땅에는 모두 여러 국가들이 선을 그어 소유권을 나누어 가지고 있는데 반해,

      달이나 화성 같은 우주 지역은 누구의 소유도 없으니 먼저 진출하려고 하는것으로 생각됩니다.

    • 과거 냉전 시대에는 서로의 우위를 보여주기 위해 우주 산업에도 많은 투자가 있었습니다.

      하지만 미국의 경우에는 엘런 머스크와 같은 사람이 사기업에서 투자를 많이 하고 있습니다.

      우주 산업이 당장 돈은 안될지라도, 우주 산업을 하며 발견/발명한 과학 기술들이

      현재에도 많이 쓰이고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상현 과학전문가입니다.

      현재는 로켓 재사용, 비용절감으로 인해서 서서히 효율성이 증가하고있습니다.
      가장 유력한 우주활동으로는 달 기지 건설이 있을것으로 보이므로
      달에대한 영토를 선점하는것이 중요합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훈식 박사입니다.

      그당시에는 정치적인 이유로 막대한 돈을 쏟아부어서 달에 갔지요. 낭비라고 할수 있습니다만, 그렇게 과학이 개발되면서 기술이 발전합니다. 가장 대표적인 그당시 우주 발명품이 전자렌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