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뷰포인플레이터9731
뷰포인플레이터973123.07.24

지진의 규모를 나타내는 기준은 어떻게 정해진 것인가요?

몇 년 전부터 우리나라뿐만 아니라 전 세계적으로 지진이 발생하는 빈도와 그 강도가 굉장히 잦아지고 강력해진다는 뉴스 보도를 접했습니다.

그런데 이러한 지진의 세기를 가늠하는 기준들은 어떻게 정해진 것이고 어찌 해석을 해야할지 헷갈려 질문을 드립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2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

    규모는 지진의 규모를 나타내는 척도입니다. 진앙(지진이 발생한 지점의 바로 위에 위치한 지상)에서 100km떨어진 지점의 최대 진폭의 정도를 정의하여 계산해 나타낸 것입니다.

    아래는 규모에 따른 지진 피해입니다.

    규모 1.0~3.0 : 지진의 흔들림을 거의 느낄 수 없는 정도, 민감한 사람들은 느낄 수 있을 정도입니다.

    규모 3.0~4.0 : 높은 층에서는 느낄 수 있음, 민감한 사람들이 느낄 수 있음, 멈춰있거나 조용한 상태에서 느낄 수 있으며, 차량, 실내에서 느낄 수 있을 정도입니다.

    규모 4.0~5.0 : 차량이 흔들리고, 실내에 있는 그릇이나 창문이 흔들리며 깨지기도함. 벽의 약한 부분이 떨어져 나가기도함. 사람들이 느낄 수 있을 정도입니다.

    규모 5.0~6.0 : 건축물, 차량 등이 흔들림. 모든 사람이 느낄 수 있음. 내진 설계가 안된 건물에서 금이가거나 창문이 깨질 수 있습니다.

    규모 6.0~7.0 : 내진 설계가 안되거나 오래된 건물의 붕괴가 일어날 수 있음. 흔들림이 심해 내부에 있는 물건들이 떨어지거나 깨질 수 있습니다.

    규모 7.0~ : 대부분의 건물과 구조물이 붕괴될 수 있음. 땅이 갈라지거나 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재훈 과학전문가입니다.

    지진의 세기는 지진파의 진폭을 측정하여 나타냅니다. 지진파는 지진이 발생할 때 지구를 통해 전달되는 파동으로, 진폭이 클수록 지진의 규모가 큽니다. 지진의 세기를 나타내는 가장 일반적인 방법은 리히터 규모입니다. 리히터 규모는 지진파의 진폭을 특정 지점에서 측정하여 나타냅니다. 리히터 규모는 0부터 9까지 있으며, 1단계 차이가 나면 진폭이 약 10배 차이가 나게 됩니다. 예를 들어 리히터 규모가 5.0인 지진은 리히터 규모가 4.0인 지진보다 진폭이 약 10배 크며 파괴력이 약 100배 더 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