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경제동향

삼겹살굽기
삼겹살굽기

가계부채가 어느정도면 위험수위인가요?

우리나라 가계부채가 역대 최고치라고 하는데요. 가계부채가 얼마나 되면 국가경제에 악영향을 미치는 수준이 되는지 알고 싶고 현재 가계부채의 수치에 대해 알고 싶습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6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이대길 경제전문가입니다.

    현재 GDP 기준으로 보게 되면 90% 후반대입니다 가계 대출이 많게 되면은 소비를 줄이게 되기 때문에 경제가 순환되지가 않습니다 그것이 정부가 우려하는 것이고 돈 많은 대형마트나 프랜차이즈 회사는 상관이 없는데 소상공인들이 폐업하게 되면은 이게 더 큰 문제가 되지요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김명주 경제전문가입니다.

    가계부채가 과도하게 쌓이면 소비와 투자가 위축되어 경제 성장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GDP 대비 100%를 넘으면 위험하다고 평가됩니다. 한국의 가계부채는 현재 약 1,900조 원을 넘어섰으며, 이는 GDP 대비 100%를 초과하는 수준으로 경제 부담을 가중시키고 있습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박호현 경제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의 가계부채는 최근까지도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2024년 1분기 기준으로 국내총생산(GDP) 대비 가계부채 비율은 98.9%로, 이는 세계 주요 34개국 중 가장 높은 수준입니다.

    일반적으로 GDP 대비 가계부채 비율이 80%를 초과하면 경제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평가됩니다.이러한 높은 부채 비율은 가계의 소비 여력을 감소시키고, 경제 성장에 제약을 줄 수 있습니다. 또한, 부채 상환 부담이 증가하면 금융 시스템의 안정성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따라서 현재 우리나라의 가계부채 수준은 경제에 잠재적인 위험 요소로 작용할 수 있으므로, 부채 관리와 경제 구조 개선을 위한 노력이 필요합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제가 알고 있는 대로 말씀드리면

    우리나라의 가계와 기업 등 민간부채는 작년 말 기준으로 국내총생산의 2배가 넘어 주요국에 비해 높은 수준인것으로 분석 되었습니다. 특히 부채가 부동산 부문에 과도하게 집중된 것은 문제라고 합니다.

    참고가 되셨으면 합니다. 감사합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가계부채 위험지수란 DSR(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이라고 해서 가계의 총 대출의 원리금 상환액(원금+이자)를 연간 소득으로 나누어 원리금 상환 비율이 40%이고 자산에 대한 부채 비율이 100%일 때 100의 값을 갖도록 설정되어 있습니다. 이 지수가 100을 넘으면 위험하고 100미만이면 위험하지 않다는 뜻입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전문가입니다.

    통상적으로 가계부채의

    적정수준과 같은 경우에는

    GDP의 약 85% 정도로 보니

    참고하시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