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진결과상의 내용에 대해 궁금합니다.
며칠전 사내 건강검진 결과지를 봤는데요
다른건 다 이해가 되는데...뇌심혈조치 및 판정에 대해 "조건부근무", "중등도위험군"이라고 결과 표기되어 있던데
이런 위험도를 정량적인 수치로는 알 수 없나요?
가령..100이하가 정상 100~150이 중등, 150이상이 위험, 200이상이 고위험...이런식으로요..
그냥, 전문용어로만 표기되어 있으니 감이 안 오네요
저 정도면 어느 정도 일까요? 당장 병원을 찾아야 하나요?
안녕하세요. 채홍석 가정의학과 전문의입니다.
업로드해주신 증상의 설명과 자료는 잘 보았습니다.
말씀하신 분류는 저 역시 눈에 들어오지 않네요
건강검진 결과를 세로로 글자가 잘 보이게 새로 질훈을 작성하고 업로드해주시면 확인을 해보겠습니다.
그리고 업로드하실 때는 술은 드시는지 담배를 피시는지도 같이 기입해주세요
안녕하세요. 아하의 의료상담 전문의 김민성입니다. 질문해주신 내용 잘 읽어보았습니다. 건강검진 결과지를 통해 용어나 수치에 혼란을 느끼는 경우가 많죠. 검진 결과에서 "조건부근무", "중등도위험군"이라는 표현을 접하신 것 같은데요. 이러한 용어는 일반적으로 건강 상태를 가늠하는 지표로 사용됩니다. "중등도위험군"은 뇌심혈관 질환의 위험이 중간 정도라는 것을 의미하며, 이는 의료진이 판단한 결과로, 질환의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조절이 필요하다는 뜻입니다.
일반적인 수치로 위험도를 제시하면 쉽게 이해할 수 있을 텐데요. 건강검진에서 정량적 수치로 명확히 설명되지 않는 경우가 있습니다. 하지만 검진 결과에 따라 숫자나 기준은 의료기관마다 다를 수 있으니, 정확한 해석을 위해서는 추가 정보가 필요합니다. 검진지를 받은 병원에 다시 방문하셔서 자세한 설명을 요청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그리고 "조건부근무"라는 것은 현재 건강 상태가 일상적인 업무를 수행하는 데 있어 모니터링이 필요하다는 의미로 볼 수 있으니, 큰 걱정보다는 확인 차원으로 검진결과를 토대로 상담을 받으시면 걱정을 덜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저의 답변이 궁금증 해결에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