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주식·가상화폐

기막히게영롱한벌새
기막히게영롱한벌새

현재 코스피가 급상승세 그래프 관련질문입니다

해외 돈으로 코스피 상승세를 그려주고있는데

어떤 사건으로 버블이 꺼지면 외환위기,초인플레이션이 오는것 아닌가요? 현정부에서 무책임하게 돈을 풀고있어서 달러,금을 사두려 합니다 짐바브웨 경제가 죽었던 방식이 지금 상황이랑 똑같지않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박형진 경제전문가입니다.

    현재의 우리나라는 IMF 때와는 달리 외환보유액이 4200억 달러가 넘으며 이는 위험에 대한 리스크대비를 하고 있습니다. 위험신호까지는 아직 없다고 보셔도 됩니다.

    짐바브웨의 경우 재정적자인 상황에서 과도한 통화 발행이 원인이었으나 우리나라의 경우 통화는 한국은행에서 하고 재정 정책은 정부에서 관여하기 때문에 분리되어 있어 서로 보완할 수 있어 위험성이 덜 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참고 부탁드려요~

  • 안녕하세요. 하성헌 경제전문가입니다.

    코스피의 상승세는 일정한 기대치가 있었지만, 이러한 상승이 점차적으로 코스피 전고점에 다가갑니다. 이러한 전고점에 다가갈수록 조정이 될 가능성이 높고, 그렇다면 다음 투자자산은 무엇일까에 대한 고민을 해야 합니다. 이러한 고민을 앞서 하기에 금이나 각종 안전자산도 방법이 될 수 있습니다. 채권 같은 것이요. 또는 단기적이라면 파킹통장에 투자를 하는 것도 방법이 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코스피가 급상승세를 그리는 것에 대한 내용입니다.

    아직 정부에서 무책임하게 돈을 풀지 않았습니다.

    코스피가 급상승을 하는 것은

    새로운 정부가 내세우는 코스피 5,000 목표에 대해서

    투자자들이 긍정적으로 평가하고 투자를 하기 때문에 그렇습니다.

  •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지금 코스피 상승세가 꺾인다고 해도 외환위기나 초인플레이션과는 무관합니다. 외환위기는 외환보유고의 문제인데, 외국인투자자금은 외환보유고와는 관련이 없으며, 초인플레이션 역시 금리인하나 통화량 급증에 따른 물가 상승인데 지금의 시장상황과는 직접적인 연관이 없어 보입니다.

    민생회복지원금이 미래세대의 부담이 될 수 있는 재정 정책이긴 하지만, 무분별한 복지라고 생각되지는 않고, 국제정세상 금의 수요는 증가할 수 있지만 짐바브웨 상황과는 아주 다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