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학문

전기·전자

흰검은꼬리63
흰검은꼬리63

전기에는 교류와 직류가 있습니다. 전기는 처음 발전소에서 만들어 질때 교류로 만들어 지나요?

전기에는 교류와 직류가 있습니다. 전기는 처음 발전소에서 만들어 질때 교류로 만들어 지나요? 아니면 직류로 만들어 지나요?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0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안녕하세요. 전기기사 취득 후 현업에서 일하고 있는 4년차 전기 엔지니어 입니다.

    발전소에서 처음 전기를 만들 때 대부분 교류로 생성됩니다. 교류는 전기 에너지를 장거리로 전송할 때 효율성이 높기 때문에 주로 사용됩니다. 발전소에서는 회전기계인 발전기를 사용하여 기계적 에너지를 전기로 변환하는데, 이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교류 전기를 생성하게 됩니다. 직류는 특정한 상황에서 변환이나 저장 목적으로 사용되며, 주로 변환기를 통해 교류에서 직류로 전환됩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전기전자 분야 전문가입니다.

    발전소에서 전기는 주로 교류로 생성됩니다. 교류 전기는 변압기를 통해 전압을 쉽게 조정할 수 있어 긴 거리 전송에 유리합니다. 대부분의 발전소, 특히 수력과 화력 발전소에서는 교류를 생산하여 전기망에 공급합니다. 직류 발전은 과거에 일부 활용되었고 현재는 특정 용도로 제한적으로 사용됩니다. 따라서 일반적인 전기 공급에서는 교류가 주로 사용됩니다.

    좋은 하루 보내시고 저의 답변이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

  • 안녕하세요. 서인엽 전문가입니다.

    전기에는 교류와 직류가 있는데, 발전소에서 전기가 처음 만들어질 때 주로 교류로 생성됩니다. 이 부분을 좀 더 자세히 설명해 드릴게요.

    1. 교류와 직류의 차이

    1. 교류 (AC, Alternating Current): 전류의 방향과 세기가 주기적으로 변화하는 전기입니다. 교류는 주로 전력 전송과 배전에서 사용됩니다. 대부분의 가정용 전기와 산업용 전기는 교류로 공급됩니다.

    2. 직류 (DC, Direct Current): 전류의 방향이 일정하게 유지되며, 전압이 일정합니다. 직류는 주로 배터리, 전자 기기, 전기 자동차 등에 사용됩니다.

    2. 발전소에서 전기의 생성

    1. 발전소의 전기 생성 방식: 대부분의 발전소에서 전기는 교류로 생성됩니다. 이는 교류가 전력을 장거리로 효율적으로 전송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교류는 변압기를 사용해 전압을 쉽게 조절할 수 있어, 높은 전압으로 송전 후, 가까운 지역에서 낮은 전압으로 변환하여 사용할 수 있습니다.

    2. 발전소에서의 교류 생성: 발전소에서는 일반적으로 교류 발전기를 사용하여 전기를 생성합니다. 이 발전기는 회전하는 자석과 고정된 코일을 이용해 교류 전기를 발생시킵니다. 이러한 방식은 전기 에너지를 생성하고, 변압기를 통해 전압을 조절하여 효율적인 송전을 가능하게 합니다.

    3. 직류의 경우

    1. 직류 발전기: 역사적으로는 직류 발전기도 사용되었지만, 교류 발전기에 비해 전압 조절이 어렵고 송전 효율이 낮습니다. 그래서 현재는 교류가 더 널리 사용됩니다.

    2. 직류 변환: 교류로 생성된 전기는 변환 장비를 통해 직류로 변환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전자 기기나 배터리 충전기 등은 교류를 직류로 변환하여 사용합니다.

    4. 현재의 사용

    1. 교류의 장점: 교류는 긴 송전 거리에서 효율적으로 전력을 전송할 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 이로 인해 대규모 전력망에서 주로 사용됩니다.

    2. 직류의 역할: 직류는 특정 용도나 전자 기기에서 여전히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최근에는 직류 송전 기술(HVDC)이 발전하여 장거리 송전에 사용되기도 합니다.

    결론적으로, 대부분의 발전소에서 전기는 교류로 생성됩니다. 이는 교류가 전력 전송에 더 효율적이기 때문입니다. 직류는 특정 용도에서 사용되며, 교류에서 직류로 변환하여 사용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답변 도움되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박준희 전문가입니다.

    전기는 어떤 방식으로 만들어지느냐에 따라 다릅니다. 전동기는 교류이구요. 태양열은 직류입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대부분의 발전소는 교류를 생성합니다. 그 이유는 전력 전송시 전압 변환이 쉬워 장거리 전송 시 전력 손실을 최소화 할 수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재훈 전문가입니다.

    전기는 대부분 발전소에서 교류로 만들어집니다. 교류 전기는 전압을 쉽게 변환할 수 있어 장거리 송전에 유리합니다. 발전소에서 생성된 교류 전기는 변압기를 통해 고전압으로 변환되어 효율적으로 송전되며 최종적으로 소비자에게 전달되기 전에 다시 변압기를 통해 낮은 전압으로 변환됩니다. 반면 직류는 주로 배터리나 전자 기기에서 사용되며 최근에는 고압 직류 송전기술도 개발되어 특정 상황에서 장거리 송전에 활용되고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강상규 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 한전 원자력발전소에서는

    삼상교류전압 22kv를 발전시켜 송전소로

    전송합니다 직류전압은 발전하지 않습니다

  • 안녕하세요. 설효훈 전문가입니다. 대부분 발전소에서 전기를 만들때 코일을 이용한 전지기유도현상을 통해서 전기를 만드는데요. 코일이 회전하면서 자기장의 크기가 변하면서 전류가 만들어져서 전기가 만들어지는 것이라서 교류가 만들어집니다.

  • 수력, 화력 발전소 등에서 터빈을 회전해서 만들어지는 전기는 모두 교류형입니다.

    즉 터빈을 거쳐서 발전소에서 만들어지는 전기는 교류입니다.

  • 안녕하세요. 박성호 전문가입니다.

    발전소에서 전기를 만들 때는 교류로 만들어지게 됩니다 발전기 모터의 회전에 따라서 상이 바뀌기 때문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