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예금·적금 이미지
예금·적금경제
예금·적금 이미지
예금·적금경제
하얀도화지113
하얀도화지11323.03.19

미국에서 금리를 올리는데 우리나라도 따라 올리는 이유가 뭔가요??

안녕하세요

미국에서 금리를 올리는데 우리나라도 따라 올리는 이유가 뭔가요??

단순하게 높은 금리를 따라 외국 자본이 빠져나가기 때문인가요?(환율 때문)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8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정의준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한국이 미국과 함께 금리를 인상하는 이유는 여러 가지가 있습니다. 첫째, 미국이 세계 최대의 경제 대국이기 때문에 미국의 금리 인상은 세계 경제에 큰 영향을 미칩니다. 따라서, 한국이 미국과 비슷한 금리 수준을 유지하는 것은 세계 경제의 안정성을 유지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둘째, 미국과 한국의 경제 상황이 서로 연관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한국은 수출 중심의 경제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미국은 한국의 주요 수출 시장 중 하나입니다. 미국의 경기 상황이 좋을수록 한국의 수출이 증가하게 되고, 이는 한국 경제 전반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칩니다.

    셋째, 외국인 투자자들이 높은 금리를 찾아 한국에 자금을 유입시키게 됩니다. 따라서, 한국이 미국의 금리 수준을 유지하면 외국인 투자자들의 투자 의사가 높아지고, 이는 한국 경제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외국인 자금 유입이 지나치게 높아지면 환율 상승과 인플레이션 압력이 증가할 수 있기 때문에 적절한 조절이 필요합니다. 따라서, 단순히 외국 자본이 높은 금리를 따라오기 때문이라기보다는 여러 가지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한국의 금리 인상 결정이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한 경제·금융 전문가입니다.

    환율차이호 인하여 수입물가가 오르게되면 결국 생산자물가 소비자물가로 이어지게되고 수출이 안 좋은 상황에서

    고인플레이션으로 인해 경제에 굉장한 악영향을 미치기 때문입니다.

    모든 나라가 그런건 아니지만 저희같은 나라는 자원, 관광이 극히 적고 제조업으로 수출로 먹고 사는 나라이고 거기에 주력인 반도체도 안팔리는 실정에서 급격한 경기침체를 막기 위한 어쩔 수없는 선택입니다.



  • 안녕하세요. 류경태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미국과의 기준금리 격차가 발생하면 질문자님께서 말씀주신대로 달러환율의 차이가 발생하게 합니다. 그린데 우리나라 무역국가이다보니 원자재를 100%수입에 의존하기 때문에 원자재가격 상승으로 인플레이션이 상승하기 때문에 금리 격차를 유지하게됩니다.



  • 안녕하세요. 이예슬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현재의 금리인상정책은 대부분 인플레이션을 억제하기 위한 제도로서 설명되지만, 그 외에도 결국 금리인상을 하게 되면 해당 국가로 외화가 유입되는 효과가 있을 것입니다.

    우리나라 또한 전세계적인 인플레현상을 억제하기 위한 정책을 사용한 것이고 특히 미국에 대하여는 금리역전에 따른 외화 유출을 우려하여 어느정도 정책을 따라갈 수 밖에는 없을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이상엽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생각하신 것처럼 미국의 지속적인 금리인상으로 미국과 우리나라 사이에 금리차가 커진다면 높은 금리로 국내에 투자된 자금이 미국으로 유출될 수 있습니다. 다만 자금유출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원화가치 하락과 이에 따른 수입물가의 상승 등 부정적 영향이 있을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민준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미국에서 금리를 올리는 경우, 다른 국가들이 이에 따라 금리를 따라올리는 이유는 여러 가지가 있을 수 있습니다. 그 이유 중 일부는 다음과 같습니다.

    1) 외환 시장 안정성 유지: 미국의 금리 인상으로 미국 달러의 가치가 상승하게 되면, 다른 국가의 통화가 미국 달러 대비 상대적으로 가치가 하락하게 됩니다. 이에 따라 외환 시장 안정성을 유지하기 위해 다른 국가들도 금리를 올려 이러한 환율 변동을 막으려고 합니다.

    2) 자국의 경제 안정성 유지: 다른 국가들도 미국의 금리 인상에 대응하기 위해 자국의 금리를 올리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는 외국인 투자자들이 자국으로 자금을 이전하려는 경우 자국의 경제 안정성을 유지하기 위함입니다.

    3) 인플레이션 대응: 미국의 금리 인상으로 인해 물가 상승률이 하락하게 됩니다. 이에 따라 다른 국가들도 물가 안정성을 유지하기 위해 금리를 올려 인플레이션을 대응하려고 합니다.


  • 안녕하세요. 정진우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미국 금리 인상에 따라 우리나라도 금리를 올리는 이유는 다양합니다.

    첫째, 글로벌 금리 상승에 따른 자금 유출 방지를 위해 금리를 인상하는 것입니다. 글로벌 금리가 상승하면 외국인 투자자들이 자국의 투자수익률이 높은 나라로 자금을 이동시키는 경향이 있습니다. 따라서 우리나라도 금리를 인상하여 외국인 투자자들의 자금 유출을 막고, 경기 안정과 환율 안정을 유지하고자 하는 것입니다.

    둘째, 인플레이션을 억제하기 위해 금리를 인상하는 것입니다. 금리가 상승하면 대출이 어려워지고 소비와 투자가 감소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이로 인해 물가 상승률이 낮아지거나 안정화될 수 있습니다.

    셋째, 금리 인상으로 인한 경기불황 예방을 위한 것입니다. 금리 인상은 경기를 냉각시키는 효과를 가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금리 인상으로 인한 경기불황을 예방하고, 경기 안정을 유지하고자 하는 것입니다.

    넷째, 금융시장 안정을 유지하기 위한 것입니다. 금리 인상은 금융시장 안정을 유지하는 데도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금리 인상으로 인한 대출 증가율 감소와 자금 유출 방지는 금융시장 안정을 유지하는 데 큰 도움이 됩니다.

    이러한 이유로 인해, 미국 금리 인상에 따라 우리나라도 금리를 올리는 것은 글로벌 금리 동향과 경제 안정을 유지하기 위한 정책적인 결정입니다.


  • 안녕하세요. 경제&금융 분야, 재무설계 분야, 인문&예술(한국사) 분야 전문가, 지식iN '절대신 등급' 테스티아입니다.

    ✅️ 네, 외국 자본이 빠져 나가는 것이 가장 대표적인 이유이고, 또한 환율이 오르게 되면 필연적으로 수입 물가가 높아지기 때문에 석유 및 원자재를 거의 전량 수입에 의존하는 우리나라의 물가를 잡기 어렵기 때문에 어쩔 수 없이 올리는 것도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 - - 추가적으로 궁금하신 점은 의견으로 남겨주시면 제가 아는 범위 내에서 성의껏 답변을 드려볼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