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설비에서 말하는 맥동률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전기설에 대해서 공부하고 있는 30대 중반 여성입니다. 전기설비 맥동률이라는 단어가 생소한데 쉽게 말해 무엇을 의미하나요?
안녕하세요. 전기설비 관련분야에 종사하는 사람입니다. 전기설비에서 맥동률이란 전기적 신호나 전력의 변동이 반복적으로 발생하는 주기적인 변화를 뜻하는 용어입니다.
안녕하세요. 전기기사 취득 후 현업에서 일하고 있는 4년차 전기 엔지니어 입니다.
맥동률은 교류 전압이나 전류가 원하는 직류 전압이나 전류로 변환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전기적 변동을 의미합니다. 이는 보통 다이오드나 정류기를 사용한 정류 과정에서 나타나며, 출력 전압이나 전류의 평균값에 대한 변동의 정도를 비율로 나타냅니다. 맥동률이 낮을수록 출력이 더 안정적이고 균일하다는 것을 의미하므로, 전원장치의 품질을 평가하는 중요한 요소 중 하나입니다. 쉽게 말해, 맥동률은 얼마나 해당 전류 또는 전압이 일관성을 유지하는지를 보여주는 지표라고 할 수 있습니다.
제 답변이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안녕하세요. 이대길 전기기능사입니다.
맥동률이라는 것은 튄다라는 말로도 많이 쓰는 얘긴데요 전류 전압의 변동의 크기가 크다 작가를 말해서 신호가 안정적이다 불을 안정적이다를 말하고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유순혁 전기기사입니다.
맥동률이란 직류 전압이나 전류에서 맥동, 즉 리플 성분이 얼마나 포함되어 있는지를 나타내는 비율입니다.
보통 교류를 직류로 변환할 때, 완전히 평탄하지 않은 직류에 남아 있는 주기적인 변동을 뜻합니다.
맥동률이 낮을수록 전압이나 전류가 안정적이며, 전원 품질이 좋다는 의미입니다!
이를 줄이기 위해서 평활 콘덴서 혹은 필터 회로를 사용하기도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