약 2800만년 주기로 지구에 운석이 충돌한다고 하는데 이유가 무엇인가요?
지구에 있는 크레이터들에 쌓여있는 퇴적층의 나이, 방사성 동위 원소들의 연령을 비교하면
지구에 운석이 충돌한 시기를 계산할 수 있다고 하는데요.
크레이터들을 분석하고 거대한 운석이 지구와 충돌하는 시기가 무작위가 아니라
약 2800만년 마다 찾아온다는데 이유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이준엽 과학전문가입니다.
지구에 운석이 충돌하는 주기가 약 2800만년마다 발생한다는 이론은 "대폭충돌 가설" 또는 "2600만년 주기 가설"로 알려져 있습니다. 이 가설은 우주에서 발생한 큰 규모의 천체들이 주기적으로 우리 태양계 주변으로 접근하여 운석 충돌 사건이 일어나는 것을 설명하려는 가설입니다.
이 가설은 태양계 주위를 돌고 있는 별과 거대한 가스와 먼지로 이루어진 "갈락시"(은하계)의 진동 운동으로 인해 발생한다고 주장합니다. 태양계 주위를 돌고 있는 갈락시의 중력이 우리 태양계 주위에 있는 운석들에 영향을 주어, 주기적으로 이들 운석들이 내부 행성의 궤도와 교차하게 되는 것입니다. 이로 인해 대규모의 운석 충돌 사건이 주기적으로 발생하게 되는 것으로 설명됩니다.
하지만 이 가설은 아직 확실하게 입증되지는 않았습니다. 지구의 크레이터나 운석 충돌 나이 데이터의 통계적 분석에서는 약 2800만년 주기를 나타내는 경향이 보이지만, 정확한 주기성이나 그 원인에 대해서는 더 많은 연구와 데이터 분석이 필요합니다. 현재까지는 이 가설이 설명력을 가지지만, 추가적인 연구와 검증이 필요하다는 점을 염두에 두어야 합니다.
안녕하세요. 정준민 과학전문가입니다.
약 2800만년 주기로 운석 충돌이 발생하는 이유는 정확히 알려진 것은 없으며, 운석 궤도의 천체 역학적 효과가 관련될 수 있다고 가설화되어 있습니다. 추가 연구와 증거가 필요합니다.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크레이터 분석을 통해 지구에 운석이 충돌하는 시기가 약 2800만년마다 찾아온다는 가설은 지구의 궤도가 주기적으로 변화하면서 태양계의 중심을 도는 '은하수 경로' 때문이라는 학설이 있습니다.
은하수 경로는 태양계가 은하수 중심을 도는 궤도에서 위아래로 움직이는데, 태양계가 은하수 평면 위에 올라가거나 내려갈 때 물체들의 궤도가 바뀌게 되어, 태양계 주변의 운석들이 지구와 충돌할 확률이 증가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이 가설은 1980년대 후반에 공식적으로 발표되었으며, 이후 많은 연구와 분석을 통해 여러 지질학적 이벤트들과 대조하여 지지받고 있습니다. 그러나 아직까지 이 가설이 완벽하게 입증되지는 않았으며, 지구에 대한 더 많은 연구와 분석이 필요합니다.
안녕하세요. 김학영 과학전문가입니다.주기적인 충돌은 주로 특정 소행성 대의 궤도 주기에 의해 결정됩니다. 예를 들어, 크게 알려진 토리노 체인은 17년에서 2천만년 사이의 주기로 지구와의 교차 경로를 가지는 수천 개의 소행성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이러한 토리노 체인에 속한 소행성이 지구로 접근하게 되면 운석으로 충돌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이상현 과학전문가입니다.
현재 대 멸종의 기록을 추적하면 약 2800만년을 주기로 대멸종이 있었다는것은 알수있으나 이 대멸종의 원인을 지목하는 가설은 너무 다양하여 결정이 불가능합니다
아직 정확히 이론으로 정립된사항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