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는 항상 전깃줄에 앉아있는데 감전이 되지 않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길을 지나다 보면 항상 새가 전깃줄에 나란히 앉아있는 모습을 볼 수 있어요.
하지만 새는 어째서 전기에 감전이 되지 않는지 궁금하네요
안녕하세요. 류경범 과학전문가입니다.
새의 발바닥과 다리 사이의 전기 저항이 높기 때문입니다.
감전은 전기가 흐를 때 발생하게 되는데, 일반적으로 사람의 몸은 전기 저항이 낮아 전기가 몸 속으로 흐르고, 감전이 되는 것입니다.
하지만, 새가 전기줄에 앉을 때 두 발이 하나의 전기줄 위에 서있기 때문에 저항이 더 큰 새의 발로는 전류가 적게 흐르고 상대적으로 저항이 낮은 전기줄로 전류가 흐르게 됩니다.
그러나 만일 두개의 전기줄에 각각 발을 하나씩을 딛고서있으면 전류는 같은 길이 아닌 다른 길로 인식, 강한 저항에도 불구 전류가 흐르며 감전당하게 됩니다.
안녕하세요. 김재훈 과학전문가입니다.
새들이 전선에 앉아도 감전되지 않는 이유는 새에게 전류가 흐르지 않기 때문입니다 전류는 저항이 높은곳보다 낮은 곳으로 더 잘흐르는데 전선의 저항에 비해 새의 저항이 높아 전류가 흐르지 않아 감전되지 않습니다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
새는 전깃줄에 앉아도 감전되지 않습니다. 또한 전선이 튼튼하고 높게 위치하고 있다면 사람이 매달려도 감전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이는 새가 감전되지 않는 이유와 같은 이유입니다.
새가 감전되지 않는 이유는 새가 전선에 착지하게 되면 전선과 병렬로 연결된 셈이기 때문입니다. 병렬로 연결 된 회로에서는 한쪽 저항이 크게되면 저항이 작은 쪽으로 전류가 흐릅니다. 새의 몸은 하나의 저항체로 저항이 매우 큰 전선이라고 생각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새와 병렬로 연결된 전선은 저항이 매우 작은 전선이기 때문에 병렬연결된 상태에서 저항이 작은 전선 쪽으로 전류가 흐르고 새쪽으로는 전류가 흐르지 않습니다. 그래서 감전이 되지 않는것이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