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경제

주식·가상화폐

까칠한호저172
까칠한호저172

루보사태는 어떻게 주가가 43배 오를 동안 눈치를 못챌 수가 있었나요?

루보사태는 한국에서 역대급 주식사기로 손꼽힌다고 알고 있습니다. 아무 실적도 없는 주식의 주가가 43배나 오른 것으로 알고 있는데 어떻게 이렇게 될 동안 어느 곳에서도 잘못된 것임을 명확하게 밝히지 못했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8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신동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다단계 사업 형태로 루보의 주가를 조작해 다수의 피해자를 낳은 사건이다. 당시 이들은 투자설명회를 열고 자금 1441억원을 이용해 728개의 차명 계좌를 만들었다. 또 통정매매를 이용해 루보 주가를 1185원에서 5만1400원까지 끌어올렸고 119억원의 이익을 챙겼다.

    당시 내부통제 및 상시모니터링의 부재때문인것 같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명근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얼마전 라덕연방식과 비슷했죠 야금야금 거래량의 큰 변화 없이 조금씩 조금씩 올려서 금융당국에서 알기가 쉽지는 않았을거 같습니다 !

  • 안녕하세요. 김락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주가조작 증거를 잡아내기에 쉽지 않습니다. 주가조작세력들은 차명계좌를 사용해서 치밀하게 조작을 하기때문입니다.

  • 안녕하세요. 박재오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루보사태는 사태의 초반에 계속되는 상승을 보인 루보사에게 주가조작을 의심하여 한국거래소에서는 조회공시를 요청했으며, 루보사는 주가에 영향을 미칠만한 이슈가 없다고 대답한 바 있습니다.

    당시에는 지금처럼 개미투자자들이 주식에 대한 이해도가 충분치 않고, 정보의 비대칭성이 더 심했기 때문에 해당 사실을 제대로 인지하지 못했습니다.

    이 사건 이후로 한국거래소에서 모든 종목을 모니터링알 하게 하는 결과를 가져왔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동하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주가가 급증할 때, 한국거래소는 루보사에 여러번 조회공시를 요구했으나 특별한 사건이 없다고 답하였습니다.

    주가가 단기간에 급상승함에 따라, 눈치를 챌 시간도 없이 매수세가 붙어서 급등하였으며, 이미 무엇이 잘못되었음을 느꼈을 때는 매도세가 이어졌고 매수물량이 없어 계속 하한가를 기록한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차명계좌와 2~5%씩 소폭 가격을 올리는 등

    이에 따라서 이런 피해가 발생한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손용준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루보 사태는 전례 없는 주가 조작 사건의 일례 입니다. 2006년 10월 1일 종가 기준 루보의 1주당 가격은 1185원 이였고 6개월 후인 2007년 4월 16일 에는 51,400원으로 약 43배가 오른 것 입니다. 하지만 작전 세력들은 의심을 덜 받기 하기 위해서 자신들이 직업을 6개월에 걸쳐 조금씩 주식을 사들입니다. 그래서 결국 아무도 운치를 채지 못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