낮에는 해가 보이고 밤에는 별과 달이 보이는 이유가 뭔가요?
낮에는 해가 보이지만 별과 달을 볼 수 없고 밤에는 별과 달을 볼 수 있지만 해는 볼 수 없는 이유를 알려주세요 그리고 해와 달의 크기도 알려주세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
우리가 살고 있는 지구는 태양 주위를 공전하면서 자전도 합니다. 자전에 의해 태양이 보이고 안보이기를 반복하죠. 그래서 태양이 보일 때를 낮이라고 하며, 낮에는 태양 빛이 너무 밝아 하늘에 떠있는 별을 볼 수 없습니다. 또한 태양이 보이지 않을 때를 밤이라고하며, 태양 빛이 없어 어둡기 때문에 하늘에 떠있는 별빛을 볼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류경범 과학전문가입니다.
빛의 밝기 때문입니다.
낮에도 별이 뜨지 않는 것은 아닙니다. 항상 별이 떠 있지만 태양의 밝은 빛에 의해 별빛이 가려져서 보이지 않는 것입니다.
하지만 밤에는 태양 빛의 영향이 거의 없는 상황이 되어 별 빛이 보이는 것입니다.
태양의 반지름은 696,340km입니다. 그리고 달의 반지름은 1,737.4km입니다.
참고로 지구의 반지름은 6,371km이니 태양은 지구의 반지름보다 무려 109배가 큽니다.
안녕하세요. 신광현 과학전문가입니다.
간단한 이유입니다. 바로 햇빛이 매우 강하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낮에도 금성이 보이지만 잘 보이지 않습니다. 별도 마찬가지입니다. 예전에 드라마에서 한 과학자에게 낮에 왜 하늘을 보고 있어서 다른 사람이 왜 하늘을 보고 있냐고 물어보는데 낮에도 별은 있다 강렬한 햇빛에 가려져 보이지 않을 뿐이다. 본질은 그대로다라고 했던 말이 떠오르네요. 낮과 밤이 있는 이유는 지구가 자전해서이고 또 밤에 달을 볼 수 있는 이유는 햇빛을 달이 반사하기 때문입니다. 달은 자체 발광 할 수 없는 물체입니다. 그래서 강력한 햇빛을 반사해서 그 빛을 지구로 보냅니다. 그래서 달이 밤에 보이게 됩니다.
안녕하세요. 김석진 과학전문가입니다.
태양빛이 지구의 대기에 의해 산란되어 낮 하늘의 푸른 빛을 내기 때문에 낮에는 별을 볼 수 없습니다.
이 광도는 우리가 낮 동안 별을 보는 것을 방해합니다.
안녕하세요. 과학전문가입니다.
지구는 태양 주위를 돌면서 스스로 회전을 합니닺 이걸 자전한다고 하는데요. 지구가 태양을 맞대고 있을때가 낮입니닺
안녕하세요. 이상현 과학전문가입니다.
낮에는 태양빛이 너무강해 주변 별과 달의 빛이 묻히게되어 잘 보이지않습니다.
가끔 이른새벽이나 늦은저녁에 햇빛이 약한경우 달을 볼 수 있기는 합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
태양의 크기
지금 알려진 크기라면 태양의 반지름은 약 69만Km입니다. 하지만 이 크기는 점점 커진다는 사실을 알고 계시나요? 그리고 먼 미래 대략 70억년 ~ 90억 년 뒤에는 지구는 태양에 의해서 사라질 거라는 과학자들의 이야기가 있습니다.
달의 크기
달의 평균 궤도 거리 즉, 지구 중심으로부터 달의 중심까지 거리는 384,402km(238,856 mi)로 이는 지구 직경의 약 30배에 달합니다. 이는 지구에서 태양까지 거리의 400분의 1에 해당하며, 달의 지름은 태양의 400분의 1인 3500km이다. 이를 통해 달의 겉보기 크기는 태양의 겉보기 크기와 같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낮 과 밤
낮과 밤이 되는 것은 지구가 자전을 하면서 태양이 보이는 면은 낮, 태양을 못 보는 면이 밤이 되는 것입니다. 태양의 빛이 상대적으로 약하기 때문에 별들이 보이게 됩니다.
안녕하세요. 김태경 과학전문가입니다.
낮에는 해가 하늘쪽에 있고 달은 땅쪽에 있어 해그 보이는 것이고
밤에는 반대로 되어 달이 보이는 것입니다
별은 항상잇긴하지만 낮에는 태양빛이 넘 강해 보이지 않는 것 입니다
지구가 자전하기 때문입니다.
지구가 돌기 때문에 낮에는 태양이 보이지만 밤에는 보이지 않습니다.
달의 반지름은 1737km이고 태양의 반지름은 696,340km 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