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생활

생활꿀팁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가치가 일정한 스테이블 코인의 경우 가치 급등락에 대한 부분을 기술적으로 보호가 가능한가요?

스테이블 코인의 경우, 소각/ 매수 등의 다양한 방법등으로 가치를 유지시킨다고 알고 있습니다. 다만 한편으로 우려되는 점은 스테이블한 특징임에도 불구하고 시장의 급격한 변화로 인해 매도세가 급속히 늘어날 경우 본래의 가치 유지 노력에도 불구하고 목적에 맞지 않게 시장경제가 흘러갈 수 있다는 생각이 많이 듭니다. 가치가 일정한 스테이블 코인의 경우 API 트레이딩과 같은 시스템을 통해서도 가치 급등락에 대한 부분을 기술적으로 보호가 가능한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3개의 답변이 있어요!
    • 블록체인 분석전문가
      블록체인 분석전문가

      대표적인 스테이블 코인 예로 테더나 USD Coin, TUSD 등을 예로 들수 있는데 우려하시는 것 처럼 약간의 차이는 있을 수 있겠으나 제 경험상 1달러 기준 엄청난 매도 매수 물량이 쏟아질 때에 1원~100원정도는 차이가 났던것으로 기억합니다.

      가치의 경우 약간의 차이가 있을 수는 있겠으나 실제 달러를 담보로 잡고 사용되기 때문에 기술적인 보호가 없다 하더라도 시장경제 개념상 본래의 가치에 벗어나 거래할 가능성은 매우 드물것으로 보입니다.(예를 들어 세계경제위기나 무역전쟁과 같은 특수한 경우) 즉, 달러로 담보를 잡아 거래할 경우 전세계 달러 환율에 따라 움직인다 보시면 되겠습니다. 때문에 달러의 가치가 원화를 대신하여 안정적인 자산 운용을 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되어 API 트레이딩과 같은 시스템을 통해 가치를 안정화 시키기 위한 시도를 하더라도 달러는 전세계적으로 가장 많이 통용되는 법정화폐이기 때문에 API 트레이딩 시스템에 통제되기 어렵다 보이는 이유는 원화가치가 전세계적으로 하락하거나 상승하게 되었을 경우 결국 국제 달러 환율값에 적용될 가능성이 매우 높다보입니다.

    • 스테이블 코인에는 아래의 3가지 종류가 있습니다.
      법정화폐 담보형(Fiat-Collateralized Stablecoin), 암호자산 담보형(Crypto-Collateralized Stablecoin), 그리고 무담보형(Non-Collateralized Stablecoin)인데요.

      1. 법정화폐 담보형
        - 법정화폐 담보형이란, 특정한 회사 또는 기관이 본인 계좌에 법정 화폐(ex. 달러, 파운드, 프랑 등)를 담보로 예치해두고 그 양에 해당하는 토큰을 발행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많은 경우 1 달러(USD)와 1:1 비율로 환전할 수 있는 토큰을 발행합니다. (USDT 등)

        사용 방법도 간단합니다. 그저 스테이블 코인을 운영기관에 전달하고 법정화폐로 환전 받기만 하면 된다. 또한 운영기관은 항상 정해진 환율에 따라 암호화폐와 법정화폐를 환전해줍니다. 가격이 1달러보다 낮아지면 거래소에서 0.99달러에 구매해서 운영기관에 1달러에 판매하려는 사람들이 등장하고, 가격이 1달러보다 높아지면 소비자들은 1달러에 운영기관에서 쉽게 구매할 수 있기 때문에 수요가 없어 자연스럽게 가격이 1달러로 떨어지는 형식입니다.
        운영기관이 제대로 운영해준다는 가정하에 가치 급등락에 대한 보호는 확실하지만... 얼마전 테더도 운영기관이 발행량보다 현금보유량이 적다는 지적이 있는 등 운영기관을 전적으로 믿어야하는 불안함이 있습니다.

      2. 암호자산 담보형 스테이블 코인

      3. 무담보형 스테이블 코인


        들은 Dai나 BaseCoin 등이 있는데, 이론적으로는 좋으나 아직은 가치 급등락에 제대로 대응하지 못하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역시 현실은 이론과 다르게 흘러가고 있네요. 해당 부분들은 많은 수학적 계산과 강제 청산 등의 복잡한 방식이 얽혀 있어 이 답변에서 모두 적기에는 어려우나 수요-공급 법칙에 의거하여 수학적 계산을 통해 가치 급등락을 방지하고자 하는 코인이고, 현재는 아직 미흡한 수준이다 라고 알고 계시면 충분할 것 같습니다.

    • 안녕하세요.가치가 일정한 스테이블 코인의 경우 가치 급등락에 대한 부분을 기술적으로 보호가 가능한가요?라고 문의하셨는데요

      대부분 스테이블 코인이 화폐수량설을 근거로해 발행되고 있습니다.

      화폐 수량설의 기본 의미가 화폐의 수량=물가 즉 인플레이션을 방지하려면 화폐발행을 제한한다라는것인데 스테이블 코인 또한 사용량이 적으면 유통량을 줄이고 사용량이 많으면 유통량을 늘리는것으로 조절을 하고 있습니다.

      아래 영상보시면 쉽게 이해가 되실듯 합니다.

      국내 스테이블 코인인 테라 신현성대표 인터뷰 영상입니다.감사합니다.

      https://youtu.be/6ujTelAu_k0

    PC용 아하 앱 설치 권유 팝업 이미지장도연이 추천하는 아하! 앱으로 편리하게 사용해 보세요.
    starbucks
    앱 설치하고 미션 완료하면 커피 기프티콘을 드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