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생물·생명

신기한고양이174
신기한고양이174

활성산소가 면역 시스템에서 하는 긍정적인 역할은 무엇인가요?

번역한 논문인데 잘 이해가 안돼서요.. 활성산소가 면역 체계에 도움을 주는 이유가 보조 T세포의 활성화를 촉진하기 때문이라는 건 알겠는데, 이게 어떻게 이루어지는지 구체적인 과정을 알고 싶습니다..! 논문에 있는 내용을 바탕으로 설명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ㅜㅜ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2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박온 전문가입니다.

    활성산소가 면역 시스템에서 긍정적인 역할을 하는 과정은 여러 단계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구체적으로 활성산소는 면역 반응을 조절하고 촉진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죠.

    1. 활성산소의 생성: 면역 세포, 특히 대식세포와 백혈구가 병원체를 인식하면, 이들은 활성산소를 생성합니다. 이는 주로 미토콘드리아에서 발생하며, 병원체를 제거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

    2. 면역 세포의 활성화: 생성된 활성산소는 면역 세포의 신호 전달 경로에 영향을 미쳐, 특히 보조 T세포(Th 세포)의 활성화를 촉진합니다. 활성산소는 특정 단백질과 상호작용하여 이들의 변화를 유도하고, 세포의 기능을 조절합니다.

    3. 면역 반응의 증진: 활성화된 보조 T세포는 다른 면역 세포를 자극하여 면역 반응을 강화합니다. 이들은 B세포를 활성화해 항체를 생성하도록 유도하고, 세포독성 T세포를 활성화하여 감염된 세포를 공격하게 합니다.

    4. 염증 반응의 조절: 활성산소는 염증 신호를 전달하는 사이토카인 생성에도 관여합니다. 이를 통해 면역 반응을 조절하고, 필요한 경우 염증을 유도해 감염을 제거합니다.

    결론적으로 말씀드리자면.. 활성산소는 면역 체계에서 보조 T세포의 활성화를 촉진하고, 면역 반응을 조절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며, 병원체에 대한 방어를 강화하는 데 기여합니다. 이러한 과정은 신체의 면역 방어에 필수적이라는거죠.

  • 안녕하세요. 김경태 전문가입니다.

    면역 세포가 병원체를 인식하면, 활성산소종이라는 물질을 생성합니다. 이는 대식세포나 호중구와 같은 면역 세포에서 발생합니다.

    생성된 활성산소는 세포 내 신호 전달 경로를 활성화합니다. 예를 들어, MAPK 경로나 NF-κB 경로와 같은 여러 신호 경로가 활성화되어 면역 반응을 조절합니다

    활성산소는 보조 T세포의 활성화를 촉진하여, 이들이 사이토카인과 같은 면역 조절 물질을 분비하게 만듭니다. 이 사이토카인은 다른 면역 세포들의 활성화와 증식을 도와줍니다.

    보조 T세포가 활성화되면 B세포와 세포독성 T세포의 활성화도 증가하게 되어, 전체적인 면역 반응이 강화됩니다. 이로 인해 병원체에 대한 효과적인 면역 반응이 이루어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