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경제동향

느긋한왕나비257
느긋한왕나비257

현재 한국 경제 상황 관련해서 궁금해서 문의드립니다.

현재 한국은행이 고금리 정책을 유지하고 있는 상황에서, 물가 상승률(인플레이션)이 실질적으로 얼마나 안정되었는지, 그리고 그로 인한 경기 둔화의 부작용은 어느 정도라고 평가해야 할까요?

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명주 경제전문가입니다.

    한국의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최근 몇 달간 2%대를 유지하며 다소 안정세를 보이고 있지만, 에너지와 식품 가격 상승 등 특정 품목에서는 여전히 상승 압력이 존재합니다.

    한국은행은 경기 둔화 우려를 감안해 신중한 금리 정책을 이어가고 있으며, 물가 안정과 경기 부작용 간 균형을 맞추려는 노력을 지속하고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 한국의 물가 상승률은 2% 중반으로 안정세를 보이지만 체감 물가는 여전히 높습니다.

    고금리로 인한 내수 부진과 기업 투자 위축이 경기 둔화의 주요 부작용입니다.

    따라서 한국은행은 인하를 서두르기 보다 경기 균형을 동시에 고려하는 입장입니다.

  • 안녕하세요. 하성헌 경제전문가입니다.

    인플레이션이 얼마나 안정되었는지를 단기적으로 판단할 수 없습니다. 이러한 것은 장기적으로 1년정도의 시간을 가지고 판단해야하며, 한번 인플레이션이 발생하게 된다면 이는 쉽게 잡기가 힘듭니다. 한번 물가를 올린것은 다시 원상태로 돌리기 힘들기 떄문이죠. 따라서 이러한 것은 고금리 정책이 장기적인관점에서 꾸준히 이어져야 하지만, 그렇게 되면, 타국가와의 금리 차이가 발생하는 부분도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현재 한국의 경제 상황에 대한 내용입니다.

    일단 전 정권에선 코스피가 2,500을 유지하다

    새로운 정권에선 코스피가 4,200을 찍었고

    또한 마이너스 GDP를 기록한 것이 2퍼센트대 성장을 기록했기에

    어느 정도 안정되고 있다고 보여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