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문
조사에서 격조사와 보조사를 구별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려주세요. 또 접속조사는 접속부사와 무엇이 다른지도 알려주시면 감사드리겠습니다.
조사에서 격조사와 보조사를 구별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려주세요. 또 접속조사는 접속부사와 무엇이 다른지도 알려주시면 감사드리겠습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개의 답변이 있어요!
안녕하세요. 김민수입니다.
격조사는 체언(주로 명사)에 붙어 문장 안에서 그 체언의 문법적 역할(주어, 목적어, 보어, 관형어, 부사어 등의 문장 성분을 표시)을 합니다. 가령, 주격 조사 '이/가', 목적격 조사 '을/를', 관형격 조사 '의' 등이 있습니다. 격조사는 문법적 관계를 주로 나타내며, 문장 성분과 일치하는 특징을 보입니다.
보조사는 체언이나 부사, 용언에 붙어 원래 의미의 추가적인 뜻이나 화자의 주관적 감정을 더합니다. 예를 들어, 대조를 나타내는 '은/는', 강조를 나타내는 '만', 선택을 나타내는 '이나/나' 등이 있습니다. 보조사는 문법적 기능보다는 의미를 보조하거나 강조하는 역할을 하는 특징이 있습니다.
접속조사는 단어와 단어, 구와 구, 문장과 문장을 직접 연결하는 조사로, '와/과', '하고', '(이)랑' 등이 있습니다. 또한, 명사+조사의 형태로 결합하고, 문장 내에서 연결하는 위치에 생략 가능하며, '그리고'와 같은 접속어로 바꾸어 쓸 수 있습니다.
접속부사는 문장과 문장 사이에서 논리적, 의미적 관계를 표시하는 부사로, '그러나', '또한', '게다가' 등과 같이 독립적으로 사용됩니다(독립된 부사어). 접속부사는 문장 앞에 위치하여 뜻을 연결합니다(문장 전체의 의미 관계를 연결).
도움이 되었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