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예금·적금

터프한당나귀38
터프한당나귀38

irp와 저축연금 제도에 대해 궁금합니다

사적연금을 들어야 할거 같은데 종류도 많고 용어도 어렵네요. 매년 연말정산에 도움이 된다는데 한도나 운용방법이 궁금해요. 세금 혜택이나 나중에 받을 때 세율도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2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류경태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이제 연말정산의 시즌이 다가오다 보니 연말정산 때 세액공제를 받으실 수 있는 상품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는 것 같습니다. 그 중에 서 연금저축과 IRP제도는 대표적인 세액공제 상품인데 이 두상품의 차이점은 다음과 같이 구분해서 설명드릴 수 있을 것 같습니다.

      • 가입대상 - [연금저축 누구나 가능] [개인형IRP 소득이 있는 직장인만 가능]

      • 세액공제한도 - [연금저축 400만원] [개인형IRP 700만원 (연금저축에서 400만원을 받으셨다면 300만원까지 추가가능)]

      • 투자한도 -[연금저축 위험자산에 전액투자가능] [개인형IRP 전체자산의 30%이상은 안전자산에 투자]

      • 중도인출 - [연금저축 일부인출 가능] [개인형IRP 중도인출 조건부에 따라 가능]

      • 상품운용 주체 - [연금저축 보험사가 운용] [개인형IRP 개인이 직접 상품 선택운용]

      • 납입방법 - [연금저축 매월 자동이체] [개인형IRP 자유로운 납입가능(자유적립식상품)]

      • 연금수령시 세금 - [55세이상~70세미만 5.5%] [70세이상 ~ 80세미만 4.4%] [80세이상 3.3%] 동일 적용

      위의 내용을 살펴보게 된다면 연금저축 보다는 제 개인적으로는 개인형IRP 제도를 더 많이 추천드리는 편인데 그 이유는 최근과 같이 금리인상이 이루어지는 시점에는 보험사의 수익률이 좋지 않아서 연금저축의 수익률 또한 좋지 않다는 점 그리고 적립금을 매월 자동이체 해야한다는 부담이 크다는 점입니다.

      그리고 적금처럼 상품을 운용하지만 세액공제까지 받는 것을 감안하게 된다면 실제 이율은 15%가 넘는 상품으로 운용하는 것이 될 수 있습니다. 그렇기에 세액공제 상품은 가입해두시는 것이 더 유리하다고 말씀드리고 싶습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었다면 추천 한번 부탁드릴게요. 오늘도 좋은 하루 되세요!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연금저축과 IRP가 있습니다.

      연금저축은 펀드와 보험으로 나뉘고 IRP는 개인형퇴직연금으로

      연금저축 400+ IRP 300 / IRP 700이 한도이니 참고하세요.

      운용은 ETF 및 펀드 등으로 운용할 수도 있습니다.

      자금을 예치하여 운용할 수도 있구요.

      연봉 5500만원 이하의 분들에게는 16.5%의 세액공제, 5500만원 초과 분들에게는 납입금액의

      13.2%의 세액공제를 해주니 참고하세요.

      나중에 수령하실 때에는 3.3~5.5%의 연금소득세를 납부하니 참고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