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기계공학 이미지
기계공학학문
기계공학 이미지
기계공학학문
냉철한불독44
냉철한불독4423.03.16

하늘을 나는 자동차가 생기면 그건 자동차인가요 비행기인가요??

만약 미래에 하늘을 나는 자동차가 생기면 그 자동차는 비행기와 나는 원리가 같나요??또 그 자동차가 나는 순간부터는 비행기로 취급될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5개의 답변이 있어요!
  • 미래에 하늘을 나는 자동차가 생긴다면, 그것이 자동차인지 비행기인지는 명확히 구분할 수 없을 것입니다. 비행기와 자동차는 원리가 다르지만, 둘 다 공중에서 운행되며 인력으로 운전됩니다. 하지만, 그 자동차가 나는 순간부터는 비행기로 취급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이는 항공 규제와 안전 요건 등이 자동차에 비해 비행기에 더 적용되기 때문입니다. 또한, 자동차가 고도를 유지하면서 이동하기 위해서는 비행기와 같은 기술적 요건과 훈련이 필요할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과학전문가입니다.

    새로운 정의가 필요할것 같습니다. 자동차란건 흔히 지상에서의 바퀴달린 이동수단을 의미하니까요.

    지상 비행이 가능한 자동차죠.

    질문에 도움이 되셨다면 추천과 좋아요 클릭 부탁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하늘을 나는 차량이 생긴다면 그것은 비행기입니다. 비행기는 공기 저항을 줄이기 위해 날개를 가지고 있고, 공기 중에서 상승력을 발생시켜 비행하는데 사용되는 엔진과 함께 비행을 지원하는 다양한 장비가 장착되어 있습니다. 반면에 자동차는 지상에서 주행하기 위한 엔진과 바퀴, 조향장치 등이 있지만, 공중에서 비행하기 위한 기능을 갖추고 있지 않습니다. 따라서 하늘을 나는 차량은 비행기이며, 자동차와는 구별됩니다.


  • 안녕하세요. 주영민 과학전문가입니다.

    하늘을 날기 위해서는 현재로써는 비행기 방식과 헬리콥터 방식으로 밖에 없을 것 같습니다.

    그런점에서 하늘을 나는 자동차는 비행기 또는 헬리콥터 형태일것 같습니다.

    다만 지상에서는 자동차로써의 역할도 해야할겁니다.

    비행기란 대기권을 날아다니는 비행물체라는 정의가 있습니다. 그런 점에서 하늘을 나는 자동차는 비행기로도 분류되고

    비행관련 법도 적용이 예상됩니다.


  • 안녕하세요. 김학영 과학전문가입니다. 최근 기술 발전으로 공중을 날아다니는 자동차, 즉 공중 자동차 개발도 진행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공중 자동차는 차량과 비행기의 특성을 모두 가지고 있으며, 고도 150m 이하를 비행할 수 있는 제한된 공간에서 주로 운영됩니다. 이러한 공중 자동차는 차량으로서의 운행과 비행기로서의 비행을 모두 수행할 수 있기 때문에 자동차와 비행기 모두의 특징을 가지고 있으며, 따라서 기술적인 측면에서 차량과 비행기를 결합한 새로운 운송 수단으로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