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vb은행 파산 사태는 왜 발생했을까요?
2023년에 갑자기 SVB은행이 파산했다는 뉴스 기사를 접하고 놀란 기억이 있는데 이 은행이 파산한 주요 원인은 무엇이었는지 궁금합니다
질문하신 SVB 은행이 파산이 된 이유에 대한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일반적으로 은행이 파산하게 되는 이유는 크게 두 가지로 볼 수 있습니다.
은행은 고객의 예금을 빌려 대출해주는 기관인데 예금이 줄거나 대출이 부실화되면 파산하게 되는것입니다.
이번 SVB 파산은 이 두 가지 원인 모두가 해당되었습니다.
SVB는 벤처기업들이 주요한 고객으로 그들의 돈을 예금을 받았는데
고객에게서 들어오는 예금은 줄어들고 되려 인출이 늘어사너
은행이 투자했던 미국 국채를 약 2조 4,000억원 넘게 손실을 보면서부터
뱅크런이 시작된 것입니다.
✅️ SVB(실리콘 밸리 뱅크)의 경우 미 연준의 고금리 정책으로 인해 일거에 예금자들이 돈을 빼갔고(뱅크런) 이와 더불어 이자 지급에 대한 부담을 극복하지 못한 결과 파산으로 연결되었다고 할 수 있습니다.
자금 구하기가 어려워진 실리콘밸리 기업들이 이 은행에 맡겨둔 예금을 계속 찾아가면서 이 은행은 고객들에게 내줄 돈을 마련하기 위해 보유한 채권을 내다 팔기 시작했는데요. 이 채권은 매입 당시엔 저금리였지만 요즘은 금리가 많이 올랐기 때문에 매입 당시보다 손실을 보고 팔아야 했습니다. 채권의 수익률과 가격은 반비례 관계이기 때문이죠. 예를 들어 시중금리가 1%일 때는 1년 후 1억달러를 주는 채권을 9900만달러에 사고 팔지만, 시중금리가 5%로 오르면 1년 후에 1억달러를 주는 채권이 9500만달러에 거래됩니다.
이 과정에서 SVB는 크게 손실을 입었고, 이를 메우고자 주주들을 대상으로 유상증자를 하려고 했습니다. 이 과정에서 은행에 돈이 부족하다는 걸 안 예금주들(주로 실리콘밸리 스타트업들)이 은행으로 달려와 예금을 인출하는 바람에 난리가 났습니다. 사태 수습이 어렵다고 판단한 미국 정부는 이 은행의 문을 닫기로 결정했습니다
<출처: 프로들의 성공 경험, Pro:logue - https://app.rmbr.in/HTC4I7RFtIb>
실리콘벨리 은행의 경우에는 다음의 과정을 거치게 되면서 파산에 이르게 되었어요
미 연준의 급격한 금리 인상
안전자산으로 매입하였던 채권의 가치 하락
실리콘밸리의 주 거래 기업들인 벤처기업들 및 IT기업들의 유동성 하락
해당 기업들의 유동성 하락에 따른 예금 예치 감소 및 자금 사용 증가에 따른 예금인출 증가
기업들의 예금인출을 위해서 보유중이던 채권의 매도
채권의 만기전 매도로 인하여 채권 손실로 인한 은행의 손실 규모 확대
실리콘밸리 내의 펀드회사가 이 내용을 SNS에 알리면서 예금자보호금액인 25만달러 이하 금액으로만 유지
많은 기업들이 한번에 자금 인출을 하려고 시도로 인해서 뱅크런 발생
예금부족으로 인한 파산
SVB 은행, 즉 실리콘 밸리 은행은 미국 장기채와 MBS 상품에 상당히 투자를 하였고 고금리로 인하여 이에 따른 기존 채권들의 메리트가 사라졌습니다. 그리고 해당 은행의 고객들이 대규모 자금을 인출하자 유동성이 떨어져 파산한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