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음악 이미지
음악학문
음악 이미지
음악학문
빼어난안경곰147
빼어난안경곰14723.06.19

체스라는 게임은 언제 처음으로 시작되었나요?

안녕하세요. 우리나라에는 장기라는 게임이 있는데 서양에는 체스라는 게임이 있잖아요. 비슷한것 같은데 이 체스라는 게임은 언제 처음시작되었고 누구에 의해서 만들어진 게임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1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이주연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체스 기원의 배경중, 일설에 따르면 버마 사람들은 자기들의 고대국(古代國)이었던“타이링”의한왕비가 발명 한 것이라 주장한다. 왕을 지극히 사랑한 왕비가 전쟁만을 일삼아 싸움터에만 나다니는 왕을 궁중에 머물게 하기 위해 궁리 끝에 만들어 낸 것이 바로 장기라는 것입니다. 하지만, 현재 학계에선 가설에 불과한 주장으로 설득력이 낮은 편입니다.

    체스는 서양장기라고도 한다. 체스의 어원은 페르시아어로 샤(shh:왕)이다. 독일어로 샤흐(Schach), 프랑스어로 에셰스(checs), 스페인어는 아예드레즈(ajedrez), 러시아어로 샤프마투라고 한다. 약4천년전 인도에서 발상한 차투랑가(chaturaga)가 유럽에 전해졌으며, 그것이 변형되어 15세기경에 국제규칙이 확립되었습니다.

    체스의 역사에 대해서 좀더 자세히 설명하자면 체스는 고대 인도의 아슈타파다(Ashtapata)라는 게임에서 유래 됐습니다.
    (아슈타파다는 인도어로 다리가 8개 달린 거미라는 의미입니다.) -A.D600년경 체스기물의 원형을 보면 코끼리를 탄 병사, 2륜 전차를 끄는 병사, 그리고 보병을 인형으로 만들어 게임으로 즐겼는데 이것이 오늘날 체스의 조상인 차투랑가(Chaturanga)입니다.

    ※차투랑가는 장기와 체스의 원형이라는 것이 학계의 정설입니다.

    차투랑가는 고대 인도어, 즉 산스크리트어(sanskrit:楚語)이다. 챠툴(chatur)은 넷(四),앙가(anga)는 원(員)을 뜻하므로 이는 군대의 네가지 구성원인 차(車),마(馬),상(象),보졸(步卒)이니 전군(全軍)을 의미하는 것이라고 한다.

    차투랑가는 인형으로 만들어진 코끼리를 탄 병사, 2륜 전차를 끄는 병사, 보병 등의 말을 가지고 벌이는 일종의 전쟁놀이입니다. 차투랑가는 불교의 전래와 함께 동아시아 지역으로 소개돼 중국의 장기, 한국의 민속장기, 일본의 쇼기로 분화됐습니다. 중동 지역으로 전파된 차투랑가는 페르시아 제국 시대에 유럽에 소개되고 11세기 경 유럽 전역으로 전파되기에 이르구요. 1470년경에는 이름도 체스(chess)로 바뀝니다.

    체스의 어원은 페르시아어로 왕을 뜻하는 ‘샤(schach)’. 그 이름에서 짐작할 수 있듯 왕후 귀족들이 즐기는 놀이로 주로 왕자들에게 전쟁에서 이길 수 있는 전술을 익히거나 통치술을 가르치는데 사용됐다고 한다. 차투랑가에서 체스로 이름이 바뀌며 말의 모양과 움직임이 오늘날과 비슷하게 바뀌었고 게임의 기본 전술도 만들어졌습니다. 유럽에서는 16세기 후반 이탈리아 귀족들이 체스 플레이어를 후원하며 체스는 귀족문화로 발전합니다. 1730년대에는 고급스런 커피하우스에서 체스를 즐기는 체스 클럽이 등장했고, 전문서적도 출간되기도 했습니다.

    16세기 후반 이탈리아 귀족들이 체스 플레이어를 후원하게 되고 이로 인하여 체스는 귀족문화의 하나로 자리 잡게 됩니다.
    -1730년대는 멋진 커피하우스에서 체스를 즐기는 체스클럽이 생기기 시작하였고, 이 시기 체스에 관한 전문 서적도 출판되었습니다. 19세기가 되자 각 체스클럽끼리 교류전도 활발히 이루어졌고, 우편으로 하는 통신체스도 시작되었습니다. 그리고 통신수단이 발달하자 체스게임도 도시와 도시를 오가며 이루어졌습니다. 이시기에 체스문화를 이끈 도시는 프랑스 파리였습니다.

    1843년에는 영국의 스턴톤(Stauaton)이 프랑스의 생야망(Saint-amang)을 꺾고 세계체스의 패권을 영국이 차지하게 됩니다. 이로 인하여 1870년경에는 체스의 중심지가 프랑스 파리에서 영국의 런던으로 바뀌게 됩니다. 1872년 체스패권을 차지한 슈타이니즈(Steiniz)는 체스의 이론과 실전을 완벽하게 조화시켜 수많은 정석들을 연구하여 정립했으며, 이것이 오늘날 체스교육의 기본이 되었습니다. 그는 체스의 규칙을 통일화하는데 많은 노력을 기울인 사람이기도 합니다.

    1924년에는 FIDE(Federtion Internationale Des Echecs)라는 국제체스연맹이 프랑스에서 설립되면서 최초의 체스 올림픽이 개최되었습니다. 그러나 체스연맹이 구성되고 23년 후에나 체스게임의 국제 규칙이 만들어지게 됩니다.

    1950년부터 FIDE는 마스터, 그랜드 마스터 같은 칭호를 만들어 체스 고수들에게 그에 걸맞는 칭호를 주게 됩니다.
    -1970년에는 국제등급이, 81년에는 체스 기보를 보는 기호표시가 발표되게 됩니다.
    이후 발전에 발전을 거듭한 체스는 전세계 사람들이 사랑하는 세계공용의 문화로 발전하여 자리를 잡게 되었습니다.

    차투랑가의 동양으로의 전파는 불교의 전파가 한몫을 하였습니다. 차투랑가는 중국에선 샹기(Xiangi)로 보급되었고, 한국에서는 민속 장기로, 일본에서는 일본장기 쇼기(Shogi)로 각국의 특색에 맞게 발전 변형되었습니다.

    한편으로 지금의 중동 지방에 전파된 차트랑카가 페르시아 제국 시절에 유럽으로 넘어가서 체스가 되었다고 보는 사람이 많은데, 차투랑가의 서유럽 전파는 페르시아를 거쳐 전쟁의 경로를 기점으로 하여 발칸 반도를 지나 시실리에 전파되었고, 다시 유럽으로 퍼져나가다가 카스피해의 불가를 타고 러시아에도 전파되었습니다. 실제로 체스의 용어를 보면 페르시아어, 불어, 영어 등이 서로 뒤섞여 있습니다. 페르시아 제국이 전세계를 대상으로 식민지 개척에 나서게 되자 체스도 오대양 육대주로 전파되어 이제는 전세계의 약 150여개국이 체스를 즐기고 있습니다.

    1840년대에는 유럽 각 나라마다 체스 협회가 구성됐고 1924년 국제 체스 연맹(Federation Internationale De Echecs)이 프랑스에서 설립되었습니다.

    체스 게임의 국제 규칙은 그러나, 그로부터 23년이 지나서 만들어졌습니다. 1950년부터는 게임의 고수들에게 마스터, 그랜드 마스터 같은 칭호가 주어졌고, 1970년에는 국제 등급이 마련됐습니다. 국제 체스 연맹 주최로 2년마다 열리는 세계 체스 선수권 대회에서는 300만 달러의 상금을 놓고 세계 각국의 선수들이 패권을 다투는데 딥 블루와 대결한 카르파로프는 85년 이후 세계 체스 챔피온 권좌를 지키고 있습니다.

    체스는 가로 세로 8칸, 흑백이 번갈아 교차되는 64개 격자무늬의 체스판(chess-board) 위에서 백과 흑, 두 사람이 벌이는 게임입니다. 흑과 백은 각자에게 주어진 16개의 말(chessman)을 움직여 상대편의 킹을 잡으면 됩니다. 늘 그렇듯 겉보기에는 너무나 간단해 보입니다. 그러나 체스를 아는 사람에게 체스판은 단순한 격자무늬판이 아니라 목숨을 걸고 출정하는 피비린내나는 전쟁터로, 킹을 지키는 것은 자신의 왕국을 지키는 일처럼 절대절명의 과제로 다가옵니다. 전쟁의 축소판...

    세계적으로 체스 경기는 해마다 주니어 선수권대회, 2년마다 남녀 각 단체선수권대회(체스올림픽), 3년마다 남녀 각 개인선수권대회가 열립니다. 세계체스연맹의 일부문으로서 국제통신체스연맹(ICCP)이 있다. 예로부터 체스는 왕후귀족의 놀이였으나, 오늘날은 수억의 경기 인구를 가진 두뇌 스포츠로서 전세계에 보급되었다. 체스 세계챔피언은 러시아가 많고, 다음은 동유럽 여러 나라가 강세를 나타냅니다.

    우리가 두고 있는장기는 역시 중국을 발상지로 보는 것이 타당한 것 같습니다. 장기 자체가 항우(項羽)와 유방(劉邦)을 상징하는 초한(楚漢)으로 새겨져 있는 것만 보아도 짐작 할 수 있다.
    따라서 지금으로부터 약 2천여년 전인 삼국 시대 이후 인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또 코끼리를 뜻하는 상(象)이 인도를 상징한다, 하지만 중국의 남월(南越) 지방에도 인도 못지 않게 코끼리가 많았으며 또한상(象)은 실상(實相)이라는 상(相)의 전음(轉音)이라고 하니, 더욱 중국을근본으로 함이 뒷받침 된다.
    여기서의 상(相)이란 재상(宰相)을 뜻합니다.
    장기는 인도를 발생지로 서양으로 건너간 것은 체스(chess)로 통일되었고,동양으로 넘어온 것은 중국을 거켜 우리나라와 일본 등지로 전파되어 각기 조금씩 다른 모습으로 변천 했습니다.

    중국에서는 원래 장기를 “상희(象戱)”라고 하였는데 장기가 지금의 비슷한모습을 갖추게 된 것은 육조(六朝)시대 이후 인 것으로 추측합니다. 육조 시대 이전의 것은 중국 학자 유신의 상희(象戱)에 나타난 문헌으로 미루어 지금의 장기와는 다름을 알 수 있고, 그 이후 당(唐)의 증증유 (中憎儒)의 《현경록(玄經錄)》에 나타난 것을 보면, 상희에는 금상(金象).사장(士將).천마(天馬). 보졸(步卒) 등이 있고 그 행마법(行馬法)도 지금과비슷하며, 송대(宋代) 유쥰촌(劉俊村)의 상혁시(象奕詩)에는포(包),상(象). 마(馬) .차(車)사(士). 졸(卒)등 지금과 같은 말의 이름이 보이는 것으로 보아 가장 흡사함을 알 수 있어, 장기가 지금과 같은모습을 갖춘 것은 송대 이전일 것이라 추측합니다. 또《잠확유서(潛確類書)》에는 기원전 1천8백년경 하(夏)의 폭군 걸왕(桀王)의신하였던 오증(烏曾)이 장기와 바둑을 만들었다고전하며,《유원총보(類苑叢寶)》에는 진대(晋代) 사람인 도간(陶侃)의 고사가 적혀 있는데 은(殷) 나라의 폭군주왕(紂王)이 만들었다고 전합니다.
    이같은 사실로 미루어 보아 중국 장기, 곧 동양 장기는 고대 중국 시대인 하(夏)나라나 은(殷)나라 말에 고안된것으로 보아도 될 것 같습니다.
    우리나라에는 삼국 시대 초기인 한사군(漢四郡) 시대에 수 많은 한인(漢人)들이 이주해 오면서 장기를 퍼뜨린 것으로 추측됨..
    그들은 8년 동안 계속되었던 초(楚)와의 패권 다툼에서 승리하고 난 뒤, 조선에 한사군을 설치하고 자기들의 치열했던 초한전(楚漢戰)의 이야기를피지배인들인 조선인(韓人)들에게 들려줌 으로써 그네 민족들의 우월감을 자랑 했을 것입니다..

    옛 우리나라의 장기의명수(名手)로는 《식소록(識小錄)》에 전하는 금강산 백전암(白田庵)의 지암대사(智巖大師)가 있고 《어우야담(於于野談)》에 소개된 종실 서천령 (西川令)이 특히 유명하여 서천령 수법이라는 장기의묘법을 남겼다고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