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기를 통한 Hiv virus 감염 가능성이 있는지요?
오늘 버스에서 모기가 보이길래 손으로 눌렀는데
모기가 피를 흡혈했는지 피가 터져 나왔습니다
오른손 손가락으로 눌렀는데 모기가 흡혈한 피가 묻자 마자 물티슈로 닦았습니다
혹시 그 모기가 HIV 보균자의 피를 흡혈하였다면
제가 그 손가락으로 눌러서 잡았는데 그 흡혈한 피
가 내 손가락에 묻었다면 감염 위험이 있을런지요
그 모기가 피를 많이 흡혈했는지 피가 많이 나왔습 니다 다행히 그 손가락에 상처같은 건 없습니다
곧장 모기를 잡자마자 피가 묻은걸 알고 물티슈로
손을 몇 번이나 닦았습니다
혹시 모기를 잡았는데 모기가 흡혈한 피가 HIV 보균자의 혈액이라면 그 혈액이 내 손가락에 묻어서 감염이 된 가능성이 있는지요?
물린것은 아니고 모기를 잡았는데 모기가 흡혈한 혈액이 hiv 바이러스에 감염된 혈액이고 또한 그 모기를 잡은 내 손가락에 그 혈액이 묻었다면 감염가능성이 있을런지요?
안녕하세요. 서민석 의사입니다.
모기를 통한 HIV감염을 가능성이 없습니다. 물리지도 않았는데 감염되는 것은 불가능한 것이구요.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분야 답변자 외과 전문의 배병제입니다.
모기는 HIV를 매개하지 못합니다. 모기로 인해 감염되지 않을 것이로 모기를 잡아서 그 피를 만졌다고 해도 상처가 없었으니 감염될 여지는 극히 드물고 거의 없다고 보아야 합니다.
저의 답변이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안녕하세요. 신성현 의사입니다.
모기나 다른 피를 빨아먹는 곤충은 사람에게 에이즈 바이러스(HIV)를 전염시키는 가능성이 거의 없다고 전문가들은 설명합니다. 모기가 사람을 물 때, 다른 사람이나 동물로부터 얻은 피를 다시 전파하지 않는다는 것이 그 이유입니다. 또한 모기는 자신의 피를 사람의 피부 안으로 주입하지 않으며, 오히려 피를 빨아먹을 때 침을 윤활제로 사용하여 피를 빨아냅니다. 따라서 말라리아나 황열과 같은 전염병의 전파 경로가 되기도 하지만, 모기를 통한 HIV 전염 가능성은 거의 없다고 대한에이즈예방협회는 설명하고 있습니다.
위의 글을 문장과 어휘 순서 문장구성 등을 바꿔서 전혀 다른사람이 쓴것처럼 바꿔줘. 줄글형태로 모두 붙여서 존댓말로 서술해줘. 자연스럽게 문장을 이어서 한문단으로 만들어서 서술을 해줘 , 문단은 여러문단으로 만들어도 좋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