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의료상담

정형외과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오른쪽 골반 뼈에 구멍이 3개 있습니다

성별
여성
나이대
16

지난번에 정형외과에서 타박상으로 골반 쪽을 촬영을 헀는데 얼핏 ct찍은걸 봤는데 골반에 좀 큰 구멍 작은 구멍 합해서 3개 정도 았더라고요 진로목적이 골절됬는지 보는거여서 의사선생님이 별다른 애기는 없으시더라고요 이거 많이 심각한가요 병원은 가지않고 치료할 수 있나요

+통증은 없습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6개의 답변이 있어요!
  • 김의균 물리치료사
    김의균 물리치료사
    논현재활병원

    안녕하세요. 김의균 물리치료사입니다.

    CT 상에 골반에 구멍 같은 구조가 보이는 것은 여러가지 문제가 있을 수도 있으나 특별한 말씀이 없으셨다면 큰 문제는 아닐 것으로 생각됩니다. 골반에는 해부학적 구조상 폐쇄공이라고 해서 큰 구멍이 있고, 이는 인대와 근육으로 덮여 있습니다. 혹은 뼈 내부 밀도가 낮게 보이는 부분이 구멍처럼 보일 수도 있습니다.

    이럴 경우 큰 문제는 없지만 뼈 안에 액체로 차 있거나 빈 공간 처럼 보이는 비정상적인 구조인 뼈 낭종일 수도 있고, 뼈 밀도가 낮아지면서 구멍처럼 보이는 골다공증의 변화 일수도 있고, 드물게 골종양일 수도 있습니다.

    그렇지만 통증이 없고, 주치의 선생님의 특별한 말씀이 없으셨다면 큰 문제는 아닐 것으로 생각됩니다.

    만약 궁굼하시다면 병원에 방문하시어 상담 가져보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빠른 쾌유를 기원합니다.

    감사합니다 수고하세요~

  • 안녕하세요. 송진영 물리치료사입니다.

    골반에 구멍이 있다는 것은 일반적으로 골반의 구조적 변화나 병변을 나타낼 수 있습니다. 그러나 통증이 없고 의사가 특별한 문제를 언급하지 않았다면, 현재로서는 큰 걱정이 아닐 수 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구멍의 원인이나 상태를 정확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전문의의 진료가 필요합니다. 통증이 없다 하더라도, 정기적인 검진이나 추가 검사를 통해 상태를 모니터링 하는 것이 좋습니다. 자가 치료보다는 전문가의 의견을 듣는 것이 중요합니다.

    통증이 없더라도 병원에 가서 추가 상담을 받는 것이 최선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덕현 물리치료사입니다.

    만약에 골반쪽으로 골절이있었다면 의사가 확인하고나서 설명을 해줬을겁니다 원래 골반에는 여러가지 구멍들이 있는데요 일반인들은 골반의 구조를 잘모르기때문에 그걸보고 구멍이났다고 생각할수도있습니다

    그게아니라 정말골절이라면 통증도 있었을거고 움직이거나 보행을할때에도 불편감이 생길수있습니다

    다시한번 검사를 받고싶다면 병원에 방문하셔서 검사를받아보시고 전문의와 자세하게 상담을해보시고 설명을 받는것이 필요할수있습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조현배 물리치료사입니다.

    진료시에 의사 선생님께서 별다를 말씀 없으셨다면 타격에 이제 발생한 부상은 없는 것으로 생각됩니다. 골반은 하지로 이어지는 수많은 혈관과 신경 근육들이 존재하며 이와 관련해 골반뼈의 크고 작은 구멍들이 존재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민선 물리치료사입니다.

    CT 자료가 있으면 더 좋을거같지만, 현재 질문내용으로만 답변 드린다면, 의사 선생님이 별 말씀 없으셨다는 것을 보면 그 구멍이 그냥 다른 관절을 잘못해서 보신거 아닌가 싶습니다. 타박상으로 뼈에 구멍이 뚫리기가 쉽지 않은데, CT상 다른 근육이나 힘줄 인대 부분을 구멍으로 잘못보신거 같습니다. 만약 구멍이 있다고 한다면, 의사선생님이 바로 말씀하셨고, 골반처럼 중요한 부위의 구멍이 생기면 통증은 당연하고, 걷는 것부터 시작해서 일상생활이 힘들었을거같습니다. 구멍에 대한 부분 한번 CT찍은 병원에서 물어보시고, 별 다른 증상이 없다면, 크게 문제 되어보이진 않습니다. 부디 잘 회복되시길 바라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현태 물리치료사입니다.

    정확히 어떤 부분에 대한 구멍이 있으신 건지 병원에서 진료시에 전문의와 상담을 해보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원래 골반 뼈를 구성하는 구조 중에는 신경이나 혈관이 통과하거나 근육의 부착점이 되는 구조물들이 존재하는데요, 이런 구조물일수도 있으므로 별다른 언급이 없다면 크게 걱정하지 않으샤도 될 것으로 생각합니다. 정확한 소견에 대해서는 전문의와 대면진료시에 상담해보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