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cola
cola

사랑의 물리학이란 시를 어떻게 해석해야 할까요?

김인육 시인의 사랑의 물리학이란 시를 봤는데요.


질량의 크기는 부피와 비례하지 않는다.

꽃잎같이 하늘거리는 그 계집애가 지구보다 더 큰 질량으로 나를 끌어당긴다.

심장이 하늘에서 땅까지 아찔한 진자운동을 계속하였다.


과학적인 내용의 시라 잘 이해가 가지 않습니다. 사랑하고 무슨 연관이 있는걸까요? 지구보다 더 큰 질량으로 나를 끌어당긴다라는 부분과 심장이 하늘에서 땅까지 아찔한 진자운동을 계속 한다는 부분이 이해가 가지 않는데 과학적으로 저게 무슨 용어들인거죠?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5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문득 과학전문가
    문득 과학전문가

    안녕하세요.

    지구보다 큰 질량으로 나를 끌어당긴다.

    -> 중력은 두 물체의 거리에 반비례하고 질량에 비례합니다.

    두 물체의 거리가 가까울수록, 두 물체가 무거울수록 더 큰 힘으로 잡아당깁니다.

    지구보다 큰 질량이라면 중력이 더 세지겠죠.

    결국 '너에게 끌리는 마음이 아주 크다'로 해석되겠습니다.

    심장이 하늘에서 땅까지 아찔한 진자운동을 한다

    -> 진자운동이란 실끝에 구슬을 달아 당긴다음 놓게되면 좌우를 반복하여 진동운동을 합니다.

    하늘에서 땅까지 심장이 널뛴다는 의미로 내 심장이 두근거린다는 의미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

    질량의 크기는 부피와 비례하지 않는다라는 의미는 큰 솜과 작은 쇠구슬을 생각하시면 이해가 되실 듯 합니다. 또한 지구보다 더 큰 질량으로 나를 끌어당긴다는 의미는 지구의 끌림인 중력은 그녀의 매력으로 나를 이끄는 크기에 비하면 아무것도 아니다, 나는 그녀에게 그만큼 푹 빠져있다라고 생각하시면 될듯합니다. 진자운동은 일정한 주기를 가지고 진동하는 운동입니다. 실에 매달린 추가 이리저리 좌우로 흔들리는 운동이 진자운동의 대표적인 예입니다. 아마 첫사랑의 떨림을 빗대어 표현한 듯 합니다.

  • 지구는 질량이 크기 때문에 만유인력이 커서 우리가 지구에 붙어 있을 수 있습니다.

    만유인력은 질량이 클수록 큽니다.

    하지만 시에 있는 여자가 너무나 매력적이라서 마음을 더 이끈다고 표현한 것으로 보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학영 과학전문가입니다. 질량은 물리학에서 물질이 가지고 있는 고유한 양을 일컫는 말입니다.단위는 킬로그램을 사용합니다.

    진자운동이란 물체의 운동 중 운동 방향만 변하는 운동입니다. 실에 매단 물체(진자)가 같은 경로를 왕복하는 운동이 가장 쉬운 예시입니다.

    나머진 과학과 무관한 비유법입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이영준 과학전문가입니다.

    과학적 용어들을 통하여 첫사랑의 느낌을 과장되게 표현한 것으로 보입니다

    큰질량으로 끌어당긴다는부분은 중력에 빗대어 끌리는느낌을 묘사한것이고

    진자운동을 한다는 부분은 두근거리는 마음을 묘사한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