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은행이 기준금리 동결을 결정했는데 현재 우리나라 경제 현황에서 금리인하는 아직 무리인가요?
최근 한국은행이 기준금리 동결을 결정했습니다 기준금리가 3%인데
아직까진 추가인하를 할 경우 부작용이 더 크게 나타나는 시점인가요?
만약 추가 인하를 지금 시점에서 한다면
어떤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나요?
안녕하세요. 이명근 경제전문가입니다.
지난주 금융통화위원회에서 기준금리를 동결했지만 대부분의 경제전문가들이 2월에 기준금리를 인하할거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금융통화위원회에서 3개월 포워드 가이던스를 발표하는데 금통위원 6인 모두 향후 3개월 이내 기준금리 인하를 하는데 찬성했습니다
기본적으로 올해 우리나라는 기준금리 2-3회 인하를 할거라는 예상이 지배적입니다 그러니 현 경제상황에서 기준금리 인하는 무리가 아니라 해야합니다 가장 큰 이유가 경기가 너무 안 좋기 때문이죠
그럼 2025년도 하시는 일 다 잘되길 바랍니다 새해 복 많이많이 받으세요!
1명 평가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이번 한국은행의 기준금리 동결에 대한 내용입니다.
이번 기준금리 동결에는 우리의 원-달러 환율이 너무 높기 때문에 인하할 수 없었다고 합니다.
안녕하세요. 경제전문가입니다.
현재 한국 시장은 경기 침체에 있기 때문에 금리인하의 가능성이 충분히 있는 상황입니다. 다만 환율이 높아 금리 인하 시 시중에 유통되는 원화의 양이 늘어나 원화가치가 더욱 하락할 수 있어 금리 인하는 시기 상조라고 보는 것 같습니다.
안녕하세요. 이대길 경제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는 수출 무역 의존도가 매우 높은 나라입니다 금리를 올린다는 것은 이러한 상황 때문이지요 하지만 내리지 않으면 지금처럼 소상공인들이나 일반인들이 피해를 보게 됩니다 국가 운영에는 금리를 높이는 것이 가장 좋습니다만 특히 중산층 이하 사람들을 위해서라면 내리는 것이 맞지요
안녕하세요. 조유성 전문가입니다.
✅️ 한국은행이 금리를 추가로 인하하기에는 환율이 너무 높습니다. 지금 인하를 해버리면 수입 물가가 더 올라 '안정적 성장' 및 '물가 안정'이라는 한은의 목표 달성이 어려워질 수 있으므로 당장 인하를 할 수 없는 것이라 할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 상황만본다면 금리를 인하하는 것이 맞습니다
그럼에도 못내린 것은 미국의 경제가 강하고 금리 속도를 조절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우리나라도 금리를 못내리고 있는 상황이며 미국의 다음 fomc기조를
확인한 후 결정할 예정입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지금 내수 경기 등 경제 상황 전반만 두고본다면 무조건 기준 금리를 인하했어야 한다고 금융통화위원회 총재조차 발언했는데요. 환율이 너무 높다는 문제로 금리 인하가 어려웠음을 시사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