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전기·전자

말끔한할미새85
말끔한할미새85

전기가 흐르면 열이 발생되는건 전기에너지가 열에너지로 변하는 건가요??

전기가 흐를때 발열이 발생되는 것이 저항에 의한걸로 알고 있는데요. 그게 그럼 전기 에너지가 열에너지로 바뀐건가요?? 어떻게 되는건지 알려주세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8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재훈 전문가입니다.

    네, 맞습니다. 전기가 흐르면 전기에너지가 열에너지로 변환되어 열이 발생합니다.

    전류가 도체를 통과하면서 전자와 도체 내의 이온들이 충돌하면서 발생하는 에너지가 열에너지로 변환되는 것이 원리입니다. 이 과정을 줄의 열이라고 합니다.

    쉽게 말해 전기가 흐르는 데에는 저항이라는 벽을 넘어야 하는데 이 과정에서 에너지 일부가 열 형태로 손실되는 것이라고 생각하면 됩니다.

    따라서 전선이나 전기기구가 사용될 때 열이 발생하는 것은 자연스러운 현상입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설효훈 전문가입니다. 전기가 흐른다는 것은 전류가 흐르는 것입니다. 그래서 전기 에너지는 전류가 흐르는 에너지라고 생각하면 됩니다. 그럼 이런 전류가 흐르면 도체에 있는 원자가 흐르는 전류와 부딪히면서 운동에너지가 부딪히면서 열에너지로 변경되는 것입니다. 그러면서 열이 발생되는 것입니다.

    1명 평가
  • 네 맞습니다. 에너지 들은 다양한 형태로 변화할 수 있습니다.

    전기에너지가 열에너지, 전기에너지가 운동에너지 같은 다양한 형태로 에너지가 변환되며 일을 처리합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전기기사 취득 후 현업에서 일하고 있는 4년차 전기 엔지니어입니다.

    전기가 흐를 때 발생하는 열은 전기 에너지가 열 에너지로 변환되는 과정의 일환입니다. 이는 저항을 갖는 물질에 전류가 흐를 때 발생하는 현상으로, 저항에 의한 전력 소모가 곧 열로 변하게 됩니다. 이 과정은 줄의 법칙으로 설명할 수 있으며, 전류가 흐르는 도체의 저항이 일정할 때 전류에 의해 발생하는 열의 양은 전류의 제곱에 비례합니다. 이를 통해 전기 에너지가 열 에너지로 전환된다고 볼 수 있습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전기전자 분야 전문가입니다.

    전기가 흐르면 저항에 의해 발생하는 열은 전기에너지가 열에너지로 변환된 결과입니다. 이는 줄의 법칙에 의해 설명되며, 전류가 저항을 통과할 때 전기 에너지가 열 형태로 방출됩니다. 이는 물질의 원자나 분자가 전류의 흐름에 따라 에너지를 흡수하고 진동하거나 움직이면서 열이 발생되는 현상입니다. 이 과정은 전기장에 의한 전류의 작용이 재료 내부의 원자 간의 상호작용을 통해 에너지를 방출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집니다. 좋은 하루 보내시고 저의 답변이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

  • 안녕하세요. 서인엽 전문가입니다.

    전기가 흐를 때 열이 발생하는 이유는 전기 에너지가 열 에너지로 변환되기 때문입니다. 전자가 전선 내에서 흐를 때 저항에 부딪혀 에너지를 열로 방출하게 됩니다. 따라서 전기가 흐를 때 열이 생기는 것은 전기 에너지가 열 에너지로 바뀌는 과정입니다.

  • 전기 장치에서 열이 발생되는 이유는 여러 가지가 있는데,

    단순히 저항때문만은 아닙니다.

    전압 하강에 의해서 나머지 전압을 열을 발생해서 날려버리는 경우도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전기가 흐를때는 흐르는 도체에 저항이 있기 마련입니다. 초전도체의 경우는 저항이 없겠지만, 도체의 저항은 열을 발생시키는 주요 원인으로 작용하며, 전기에너지가 열 에너지로 변환된 것으로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