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신경과·신경외과 이미지
신경과·신경외과의료상담
신경과·신경외과 이미지
신경과·신경외과의료상담
쾌활한고라니145
쾌활한고라니14521.06.11

우리아이 골연골종 계속 추적관찰만 해도 되는건가요?

손목에 혹같은게 잡혀 정형외과에 진료를받았는데 큰병원으로 가보래요 그래서 큰병원에서 엑스레이를 여러군데 찍어보았는데 다발성으로 여러군데가 있더라구요 원발성은 양성일 가능성이 크다고 하고 다발성은 악성일경우가있다고하는데 걱정이예요 우리아이 괜찮을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2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안상우 치과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아이의 건강으로 인해서 걱정이 많으실것으로 생각됩니다.

    골연골종은 유전성 다발성 골연골종증 (Hereditary multiple exostoses) 이라고도 합니다.

    연골로 된 모자에 둘러싸인 뼈가 신체 여러 부위에서 혹처럼 자라나서 종괴를 형성하는 유전성 질환입니다. 상염색체 우성으로 유전합니다.

    주로 팔다리에 있는 긴 뼈의 성장판 인근에서 종괴가 발생하지만, 날개뼈, 갈비뼈, 척추 등 신체골 조직 어디에서든 종괴가 생길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출생 시에는 확실하지 않다가 2세 이후에 발견되는 경우가 많고, 대부분 키가 작은 편에 속합니다. 증상은 다양하게 나타날 수 있는데, 종괴 자체로 인한 증상과, 뼈의 성장장애와 변형으로 인한 증상으로 나뉘게 됩니다.

    종괴 자체의 제거뿐만이 아니라 변형교정에도 관심을 기울여야 하는데, 종괴가 주위 힘줄, 근육, 피부를 자극하여 통증을 일으키거나, 인접 관절 운동을 제한하여 기능에 문제가 있는 경우에는 종괴 절제를 하게 됩니다. 팔다리의 변형에는 절골술이나, 성장판 억제술 등으로 치료하게 됩니다. 성장 과정 중에는 간단한 수술로 교정할 수 있는 것도 성장이 끝나면 큰 수술로 교정할 수 밖에 없는 경우가 많으므로 가급적 성장기에 치료를 받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일부에서 성인이 된 후에 악성 종양, 즉 암으로 진행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출처 - 서울대학교병원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정진석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골연화증의 치료방법은 기저 원인 질환에 따라 달라집니다.

    비타민D의 단순 결핍 혹은 일광 부족으로 발생된 골연화증은 일광 노출을 증가 시키며, 비타민 D와 칼슘, 인산을 보충함으로 쉽게 치료됩니다.

    흡수장애에 의하여 발생된 비타민 D 결핍증에서는 대량의 비타민 D를 투여하고, 활성형 비타민 D의 생성장애나 비타민 D가 작용하는 표적세포의 저항성이 있는 환자에서는 활성형 비타민 D인 칼시트리올을 투여합니다. 치료에 대한 반응은 혈청과 소변의 칼슘, 인산, 알칼리성 인산분해효소 검사를 추적 관찰함으로써 알 수 있습니다.

    저인산염성 구루병환자는 인산염 용액을 일생동안 복용해야 합니다.

    아무쪼록 저의 답변이 문제 해결에 작게 나마 도움이 될 수 있기를 기원드립니다. 항상 건강하고, 행복하세요^^

    정진석 치과의사 드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