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경제동향

나혼자산낙지
나혼자산낙지

대한항공과 아시아나가 통합된 후 소비자영향도는?

대한항공이 아시아나를 흡수합병하면서 국내 항공업계 경쟁 구도가 바뀔텐데요. 운임인상 서비스 질 저하, 지방 노선 축소등 부작용 우려가 있습니다. 이런 변화가 소비자에게 실제로 어떤 영향을 줄까요?

7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대한항공과 아시아나가 통합된 이후에 대한 내용입니다.

    아무래도 경쟁하던 기업이 사라지고

    한 기업이 독과점을 하게 되면 비용이 오르게 되어서

    소비자에게는 불리하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배현홍 경제전문가입니다.

    우선 독점적 구조가 되기 때문에 소비자가 이로인한 효용가치 감소와 또는 효율적인 면을통해서 얻는 이익부분도 동시에 존재할것으로 보입니다. 다만 전체적인 측면을 보자면 거의 독점에 가깝기 때문에 소비측면에서는 오히려 효용가치의 감소가 더 크다고 보입니다.

    현재 두 항공사가 통합하게 되면 국내 점유율이 70%에 가까울정도로 독점이나 마찬가지이며 이는 사실상 운임비용의 상승으로 이어질수 있고 이경우 이론적으로 10-20%의 운임 인상 여력을 제공할 수 있을것으로 사실상 예상하고 있다는 점입니다. 실제로 미국의 델타-노스웨스트와 유나이티드-컨티넨털 합병이후 운임요금이 15~25%가 상승한 사례가 있었습니다. 특히 이는 공급 노선이 제한적인 장거리 노선의경우 대한항공과 아시아나항공이 큰 비중을 차지하기때문에 크게 상승할것으로 보이며 국내선이나 단기 국제선은 LCC와의 경쟁이 크기 때문에 제한적일것으로 보입니다.

    다만 서비스 품질 측면에서 보자면 규모의 경제를 통한 투자 여력 확대로 기내 서비스, 라운지 시설, 디지털 인프라 등이 개선될 수 있다고 보이며 통합된 마일리지 프로그램과 스카이팀 네트워크 확장으로 고객 편의성도 향상될 수 있다고 보입니다. 다만 두 항공사가 서비스 차별화를 위해 경쟁하던 동력이 약화되면서, 비용 절감을 위한 서비스 표준화나 축소가 이루어 질 수 있으므로 이부분에 대한 우려도 동시에 존재합니다.

  •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소비자들이 받게 될 부작용으로 예상되는 것은 항공 운임 인상입니다. 경쟁이 줄어들면 항공사 입장에서는 가격을 올릴 유인이 커지고, 결국 소비자들은 더 비싼 돈을 내고 비행기를 타게 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그리고 경쟁 감소는 서비스 품질 저하로 이어질 수도 있는데, 대한항공이 이미 합병 부담을 이유로 '좌석 유료화' 등 수익성 확보 꼼수를 시도했다가 논란이 된 것처럼, 소비자 편의보다는 항공사의 수익을 우선시하는 경향이 강화될 수 있습니다.

    또한, 수익성이 낮은 지방 노선이 축소되거나 배차 간격이 늘어나면서 지방 공항 이용객들의 불편이 가중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명주 경제전문가입니다.

    대한항공과 아시아나 통합 후 소비자는 노선의 선택권이 늘고, 마일리지를 그대로 사용할 수 있어 불이익은 적을 것으로 보입니다. 다만 운임의 인상과 서비스 질의 저하는 우려할 점으로 전망되고 있으며, 이는 소비자들에게 체겸되는 영향이 있을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됩니다.

  • 안녕하세요. 경제전문가입니다.

    항공사 통합은 노선 효율화와 서비스 표준화라는 장점이 있지만 독점으로 인한 운임 인상우려가 있습니다. 특히 지방 노선 축소와 마일리지 가치 하락이 대표적인 부작용으로 지적됩니다.

  • 안녕하세요. 이명근 경제전문가입니다.

    저도 해외여행을 좋아해서 대한항공 아시아나항공 둘 다 많이 탑니다 그런데 사실 어느 산업이건 경쟁구조로 가야 서비스 질이 좋아지고 가격도 낮아지는 효과가 있겠죠 이게 이제 대한항공 하나만 사실 상 메이저 항공사 하나로 남게 되는거니 구매자가 대한항공에 끌려가는 수 밖에 없을거 같단 생각입니다

    결국 대한항공이 횡포를 부려도 대안이 없으니 소비자한테는 안 좋다는게 핵심이겠죠!

  • 안녕하세요. 윤지은 경제전문가입니다.

    대한항공이 아시아나를 합병하면 소비자 입장에서는 국내 노선은 사실상 독점 구조가 되니까요 선택지가 줄어드는 게 가장 큽니다. 기에 단기적으로는 운임이 크게 오르진 않겠지만 장기적으로 보면 할인 경쟁이 줄어 가격 인상 압박이 생길 수 있습니다. 지방 노선이나 비수익 노선은 효율화 명목으로 축소될수도 있을것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