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경제용어

하얀금조105
하얀금조105

휘발유값과 경유의 가격차이가 나는 이유가 궁금합니다.

오늘 방송에 휘발유값은 내리고 경유값은 오른다고 하고 그 가격차가 220원이나 난다고 합니다. 그 이유가 무엇인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7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이정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유럽에서 경유 수급에 문제가 생기자 유럽의 유가 현물시장에서 경유 가격이 치솟았습니다. 유럽의 유가 현물시장은 미국과 아시아 현물시장에도 영향을 미쳤습니다. 아시아 유가는 ‘싱가포르 현물시장’에서 집계된다. 싱가포르 현물시장 기준으로 경유 가격은 지난 1월 배럴당 97.5달러였는데 지난 3월4일에는 126.8달러로 급등했습니다. 국내 경유 가격도 싱가포르 현물시장 가격이 그대로 반영되는 구조입니다. 이 때문에 국내 수급 상황과는 별개로 그 사이 국내 경유 가격도 크게 뛰었습니다.

    • 안녕하세요. 최진솔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이는 크게 2가지때문입니다.

      1. 경유의 공급부족

      현재 전세계적으로 환경문제로 경유에 대한 수요를 억제해둔 상태입니다. 이에 따라, 공급시설이 많이 감소한 상태이고 원유값에 대하여 휘발유보다 경유가 더 크게 영향을 받게 되었습니다.

      2. 유류세 인하 적용폭

      휘발유의 경우 경유보다 유류세가 더 비쌉니다. 이에 따라, 동일하게 30%를 감소해준다 하더라도 휘발유에 대한 혜택이 더 커지게 되는 것입니다. (예: 휘발유 세금 200원, 경유 100원의 경우 30% 감면시 휘발유는 60원, 경유는 30% 감면)

      답변이 도움되셨으면 합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예슬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는 일반적으로 경유값보다 휘발유값이 더 높은 경우가 일반적이였는데, 최근 두 상품의 가치가 역전되었습니다.

      국내외 상황으로 그러한 것인데 국외의 상황은 경유의 공급부족 및 유럽의 경유 등 부족현상으로 경유가격이 올라간 것이 이유이고, 국내의 상황에서는 유류세 인하를 하면서 그 인하폭이 휘발유가 더 높게 설정되는 과정에서 세금적인 혜택을 더 많이 받는 휘발유의 가격이 더 내려가게 되었다고 보시면 됩니다.

    • 안녕하세요. 민창성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글로벌 시장에서는 경유가 휘발유 보다 비쌉니다. 그러나 한국 시장에서만 경유가 더 사다는 인식이 있는데 이는 경유가 서민들이 많이 사용하는 연료라는 인식으로 인해 가격 책정과 세금 측면에서 경유에 많은 혜택을 주었기 때문입니다. 최근 경유(리터당 340원)와 휘발유(리터당 475원)에 붙는 세금을 대폭 줄였는데 세율이 낮은 경유 보다 휘발류에 더 큰 가격 인하 효과가 반영되어 경유 가격이 휘발류 보다 높아진 것이고 글로벌 시장에서 경유 가격 또한 폭등하여 이 차이를 상당 기간 이어가고 있는 상황입니다.

      이상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공급의 문제입니다. 예전엔 경유를 많이 안싸서 공급이 수요보다 많아서 좋았는데 최근엔 유럽 러시아 전쟁으로 인해 공급이 줄고 수요가 급증해서 시장 논리로 인해 경유 가격이 급등한겁니다.

    • 안녕하세요. 류경태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러시아전쟁과 최근 OPEC+의 감산으로 인해서 원유 가격이 점차적으로 상승할 것이란 예측이 많아지고 있어서 경제에 악영향을 미칠 것 같아서 많이 불안한 상황 같습니다. 최근에 보면 경유가 휘발유보다 비싸게 판매되고 있는데, 그 이유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먼저 국제 시장에서 거래되는 휘발유와 경유 가격을 보게되면 오히려 경유가 휘발유보다 더 비싸게 판매되고 있으며, 특히나 우리나라 기름값의 기준이 되는 싱가폴의 국제석유제품 시장 가격만 봐도 경유가 휘발유보다 비싼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처음부터 국제시장에서는 경유가 더 비싸게 거래되었으나 한국에서만 유독 휘발유보다 저렴하게 공급되고 있었던 것입니다.

      그리고 최근에 원유 가격상승으로 인해서 정부가 유류세 인하를 하였는데, 이 유류세를 인하할 때서 휘발유의 탄력세율은 리터당 529원에서 423원으로, 경유의 탄력세율은 리터당 375원에서 300원으로 인하적용하였습니다. 휘발유가 100원 가량 인하된 것에 비해 경유는 75원 주는 것에 그쳤는데, 이런 차이가 나는 데는 20% 정률로 세금을 할인한 결과에 따른 것입니다.

      얼마전까지만 하더라도 코로나로 인해서 감소하였던 해외여행 수요가 증가하였을때, 항공유의 원료가 되는 경유가 크게 소요되면서 경유가격의 이상에 영향을 미쳤던 것으로 보입니다.

      좋은하루 되시고 행복한 주말 보내세요^^

    • 안녕하세요. 성삼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휘발유는 유류세인하 정책과 국제 유가 영향에 미치는것으로 파악이되고 경유가격은 러시아 제재에 따른 경유 공급 부족에 따른것으로 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