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문학 관찰시 우리은하의 별들을 관측하는게 더 어려운이유가 무엇인가요
천문학자들이 천문학을 관찰할경우 우리은하의 별들을 관측하는게 어렵다고 하는데요 우리은하내에 별들을 보기가 어려운 이유가 무엇인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박조훈 전문가입니다.
우리 은하는 나선형 은하로, 여러 개의 나선 팔로 구성되어 있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태양계는 이 나선 팔 중 하나인 오리온의 팔 부분에 위치해 있으며 우리 은하 내의 별들을 관측하려면, 이 나선 팔 사이를 통과해야 하며, 이 과정에서 많은 가스와 먼지들이 관측을 방해하게 합니다! 우리 은하의 나선 팔과 은하 중심에는 매우 많은 양의 가스와 먼지가 존재하고, 이들은 별에서 나오는 빛을 흡수하거나 산란시켜, 지구에서 관측할 때 별의 빛이 약해지거나 가려지게 만듭니다~ 우리가 보이는 가시광은 이런 가스와 먼지에 큰 영향을 받기에 우리은하 내부의 별들을 가시광으로 보기 어렵기에 적외선 망원경등을 이용하여 관측을 하고 있지용! 우리은하의 중심에는 초대거대질량 블랙홀이 존재하며 이 블랙홀 주변에 엄청난 양의 가스와 먼지 고에너지 방사선 등이 있는것으로 알려져있습니다! 은하 중심에서 나오는 강한 방사선과 자기장 등은 전파, 적외선, X선 등의 관측에 영향을 미치며, 이를 통해 관측된 데이터 해석을 어렵게 만들지용~ 우리 은하 내에는 약 1000억 개 이상의 별들이 존재하며, 이들 중 많은 별들이 서로 가까이 모여 있습니다. 이런 밀집된 환경에서는 별들 간의 중력 상호작용과 빛의 혼합이 관측을 복잡하게 만들고 가까운 별들의 빛이 다른 별들의 빛을 가리거나 혼동시킬 수 있어 개별 별들을 분리해서 관측하는 것이 어려울 수 있습니다! 날이 덥습니당 몸조리 잘하시고 좋은하루 되셔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