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전기·전자

홀짝홀짝마셔봐
홀짝홀짝마셔봐

동물 모양의 송전탑이 실제로 존재하는 건가요?

뉴스 기사에 보니 거대 사슴, 새 형상의 송전탑이 있던데,,

이게 실제 존재하는 송전답인가요?

배전 방식에 있어서 문제가 되는 건 아닌지 모르겠는데요.

실제로도 활용이 가능 한 걸까요?

6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박준희 전문가입니다.

    저도 뉴스에서 봤는데요. 거대 사슴이나 새 모양의 송전탑은 실제로 존재한다고 하네요. 이는 사람들이 생각하는 송전탑 디자인이 주는 흉물스러운 이미지를 변경시키기 위한거죠. 이로서 도시 미관을 살리기 위한 목적으로 만들어지는거죠.

    감사합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김재훈 전문가입니다.

    네 새의 형상을 한 송전탑과 사슴의 형상을 한 송전탑은 실제로 존재하고 있는 것이 아니라 디자인 공모에 나온 송전탑 모형입니다실제로 건축시 기능상에는 문제가 없을수 있지만 일반 송전탑에 비해 더 많은 철근이 들어갈 것이라고 합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최정훈 전문가입니다.

    작성자님께서 보신 거대 사슴과 새 송전탑은 아직 건설된 것은 아니고, 오스트리아의 전력회사인 APG에서 오스트리아의 9주를 상징하는 거대동물로 만들어진 송전탑의 디자인 입니다. 배전은 전선을 지지하고, 안전거리를 확보하여 전력을 안정적으로 수송하는 목적에 방해되는 것은 없기 때문에 기술적으로 문제되는 건 없습니다. 또한, 이 송전탑이 건설될 계획이 확정 된것은 아닙니다. 그 이유는 기존보다 훨씬 많은 철이 필요할 수 있다는 우려 때문입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박형진 전문가입니다.

    외국에 실ㄹ제 동물모양의 송전탑이 존재한다는 기록이 있습니다.

    이는 외관상 송전탑에 대한 거부감을 완화해 줄 수 있죠.

    배전 방식에 대해서는 일반적인 송전탑과 동일한 성능을 가지며 좀더 어려운 설계를 하기 때문에 비용이 더 크게 발생할 뿐 기능이나 성능상 문제는 없습니다.

    참고 부탁드려요~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하성헌 전문가입니다.

    동물모양의 송전탑의 경우 국내보다는 해외에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이는 중국에서의 사슴모양 송전탑을 통해서 확인이 된다고 볼 수 있습니다. 이러한 송전탑의 경우 전력공급의 문제는 없지만, 사람들의 혼란을 일으킬 수 있다는 점에서 사전에 주민들에게 안전에 문제가 없음을 알리는 과정을 거치는 것이 중요합니다. 그 이유는 이러한 외형의 변화는 혼란을 야기할 수 있기 대문입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설효훈 전문가입니다. 송전탑의 모양이 사슴이나 새등의 모양을 하는 것은 단순히 송접탐의 기구물의 모양을 그렇게 변경해서 사용하는 것입니다. 송전탑의 기본 기능이 전선을 높이하여서 위험성을 낮추고 또한 기구물은 이런 전선을 잘지지해주는 것입니다. 그래서 이런 기구물의 모양은 크게 상관이 없습니다. 대부분 이런 형상은 기본적인 탑모양을 좀 좋아하지 않아서 그 인식을 바꾸기 위해서 디자인한것이지 크게 문제가 되진 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