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학문

역사

재빠른들소8
재빠른들소8

와인의 이름에 대해 문의드립니다. ( 소비뇽 )

안녕하세요.. 와인 초보자입니다.. 주말에 와인을 마셨는데 와인의 이름이 까베르네 소비뇽 이라고

되어 있었습니다.. 이 이름의 와인의 원산지도 궁금하구요,, 또 와인이름중에서 (소비뇽) 이라는

단어가 많이 들어가 있던데요.. 이 (소비뇽) 이라는 단어가 주는 의미가 무엇인지 궁금해서 문의 드립니다.

감사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4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행복한북극곰
    행복한북극곰

    안녕하세요. 염민우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소비뇽이란

    화이트와인 양조용 포도 품종 중 하나로 향이 풍부하고 강한맛이 나는 프랑스 최고 포도중 하나입니다.

    이런저런 포도와 블렌딩하여 다른 와인을 만들기도 합니다.

  •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카베르네 쇼비뇽은 오랜 와인 품종 역사에서 겨우400 살 남짓한 막내에 속하는 품종이며 사실 이종교배의 걸작품인데 17세기에 프랑스 남서부 보르도 지방에서 적포도인 카베르네 프랑 (Cabernet Franc) 과 청포도인 소비뇽 블랑 (Sauvignon Blanc)의 교잡으로 탄생하였으며 부모인 카베르네 프랑에서 "카베르네" 그리고 소비뇽 블랑 에서 "소비뇽"을 따와 카베르네 쇼비뇽이라고 지었다고 합니다.

  • 안녕하세요. 강요셉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소비뇽 블랑은 프랑스 보르도 지역에서 유래한 청포도 품종중의 하나인데 초기 남서 프랑스에서 원주민 포도로 불렸기 때문에 프랑스 단어 sauvage(야생)과 blanc(흰색)에서 이름이 유래되었다고 합니다. 원산지는 프랑스입니다

  • 안녕하세요. 이명훈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쇼비뇽은 포도 품종 중에 하나 입니다.

    소비뇽 블랑(Sauvignon blanc)은 프랑스 보르도 지역에서 유래한 청포도 품종 중 하나이다. 초기 남서 프랑스에서 원주민 포도로 불렸기 때문에 프랑스 단어 sauvage(소바주, 야생)과 blanc(블랑, 흰색)에서 이름이 유래 되었다고 보고 있다.[1] 유전학적으로는 사바냥(Savagnin)에서 파생되었다. 소비뇽 블랑은 세계적으로 와인을 생산하는 많은 지역에 심어져 있으며 선명하고 드라이하며 상쾌한 화이트 와인을 생산한다. 또 디저트 와인으로 유명한 소테른(Sauternes)과 바르삭(Barsac)의 포도로 쓰이기도 한다. 소비뇽 블랑은 프랑스, 칠레, 루마니아, 캐나다, 호주, 뉴질랜드, 남아프리카, 미국 워싱턴 및 캘리포니아에서 재배되고 있다. 특히 캘리포니아의 신세계 소비뇽 블랑(New World Sauvignon blanc)은 프랑스의 푸이 퓌메(Pouilly-Fumé)처럼 로버트 몬다비가 퓌메 블랑(Fumé Blanc)이라는 새로운 용어를 만들어 냈다.

    기후에 따라 강한 풀잎에서 열대 과일까지 다양하게 풍미가 변한다. 시원한 기후에서는 새콤하고 풀잎의 녹색 향이 잘 느껴지는 포도로 자란다. 녹색 피망이나 쐐기풀과 함께 약간의 열대 과일(패션프루트 등)과 꽃(딱총나무속 등) 향기도 나타난다. 따뜻한 기후에서는 열대 과일 풍미를 더 진하게 만들 수 있지만, 과도한 숙성은 향이 옅어질 위험이 있고 약간의 자몽과 복숭아 나무향만 남게 될 수 있다.

    와인 전문가들은 프랑스의 루아르 계곡과 뉴질랜드의 쇼비뇽 블랑을 "선명하고 우아하며 신선한(crisp, elegant, and fresh)"라며 높이 평가한다. 차게한 소비뇽 블랑 와인은 초밥, 생선, 치즈(특히 염소젖 치즈) 등과 잘 어울린다.

    뉴질랜드 소비뇽 블랑은 리슬링과 같이 병 마개가 트위스트 캡으로 된 최초의 고급 와인 중 하나이다. 소비뇽 블랑 품종은 오래 숙성 시키면 완두콩이나 아스파라거스향이 짙어지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보통 숙성시키지 않고 짧은 기간 안에 마신다. 그러나 보르도의 화이트 와인 중 페삭 레오냥(Pessac-Léognan)이나 그라브(Graves)에서처럼 오크 숙성을 한 소비뇽 블랑은 푸이 퓌메(Pouilly-Fumé)나 상세르(Sancerre)와인처럼 소비뇽 블랑의 숙성 잠재력을 보여주기도 한다.

    뉴질랜드에서는 매년 5월 첫주 금요일을 국제 소비뇽 블랑의 날(International Sauvignon Blanc Day)로 지정했다.

    소비뇽 블랑만을 처음 재배한 곳은 미국 캘리포니아 주, 리버모어 계곡의 크레 스타 블랑카 와이너리(Cresta Blanca Winery)로 소개되었다.

    소비뇽 블랑 품종은 루아르 계곡과 프랑스 보르도 지역에 기원을 두고 있다. 포도 나무 기원이 서부 프랑스 인지는 아직 분명하지 않다. 진행중인 연구에 따르면 사바냥(Savagnin)의 후손일 수도 있다. 그리고 카르미네르(Carmenere) 계열과도 연관이 있다. 18세기 어느 시점부터 보르도에서는 카베르네 프랑과 소비뇽 블랑을 교배하여 까베르네 소비뇽 포도를 기르기 시작했다. 19세기에는 소비뇽 베르트(칠레에서 쇼비나제로(Sauvignonasse) 불리는 품종)와 소비뇽 그리에서 핑크색으로 변이된 소비뇽 블랑이 널리 퍼져 있었다. 그러나 곧 필록세라 전염병균이 프랑스 포도밭을 황폐화시켜, 많은 나무들이 칠레로 옮겨졌고, 칠레에서는 지금까지도 당시 보르도에서 19세기에 기르던 품종을 흔히 볼 수 있다. 루아르 계곡의 소비뇽 로제(Sauvignon rosé)는 이름이 비슷하기는 하지만 소비뇽 블랑과는 아무런 관계가 없다.[7]

    소비뇽 블랑만을 처음 재배한 곳은 1880년대 크레스타 블랑카 와이너리(Cresta Blanca Winery)의 창업자인 찰스 웻모어(Charles Wetmore)가 소비뇽 블랑을 캘리포니아로 가져오면서 시작되었다. 이 포도들은 프랑스 샤토디켐 (Château d' Yquem)의 소테른 포도밭에서 가져왔다. 나무는 리버모어 계곡에서 잘 자라, 결국 1968년 로버트 몬다비의 홍보로 캘리포니아에서 퓌메 블랑(Fumé Blanc)이라는 별칭을 얻었다. 1970년대 뉴질랜드에서는 실험적으로 뮬러 트르가우(Müller-Thurgau)와 혼합시킨 나무를 처음 발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