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동차 기어방식중 기어봉 타입과 기어 방식에 대한 질문
요즘 나오는 차량들을 보면 버스나 일부 트럭등을 제외하곤 대부분 자동방식이던데요.
등장했다가 대차게 욕먹고 사라져가는 버튼식이나 고급차량에 들어가는 몇가지 방식을 제외하곤
칼럼식이란거랑 다이얼식 기어봉 방식이 가장 많이 보이던데요.
칼럼이나 다이얼식은 말그대로 딸깍거려서 P R N D를 조절하는거로 압니다.
여기서 궁금한게 기어봉의 경우 칼럼이나 다이얼처럼 버튼처럼 기어봉의 위치 자체를 P R N D로 이동시켰을때
거기서 전기적 신호가 구동축으로 전해지는건가요?
아니면 수동식처럼 위치를 바꿀때마다 해당 구동축으로 물리적으로 전해지는 그런건데
다만 클러치를 없애고 D의 1~6단에서 위아래로 올라가고 내려가는게 자동일뿐인건가요?
안녕하세요. 서종현 전문가입니다.
말씀하신 칼럼식, 다이얼식 뿐만 아니라 일반적인 기어봉 타입의 자동 변속기도 대부분 전기적 신호를 통해 변속을 제어합니다. 이를 쉬프트 바이 와이어(shift by wire SBW)방식이라고 부릅니다.
운전자가 P,R,N,D 등 기어봉의 위치를 변경하면, 해당 위치는 물리적으로 직접 변속기와 연결된 것이 아니라 전기적 신호로 변환도어 변속기 제어 장치(TCU)로 전달됩니다. TCU는 이 신호를 받아 솔레노이드 밸브 등을 작동시켜 유압을 제어하며 실제 변속을 수행합니다.
따라서 D 모드 내에서 1단부터 6단(또는 그 이상)으로 자동으로 변속되는것과 마찬가지로 P,R,N,D 선택 또한 전기적으로 이루어진다고 보시면 됩니다. 과거의 일부 자동 변속기는 기어봉과 변속기가 물리적으로 연결된 방식도 있었으나, 최근 차량들은 공간 활용 및 정밀 제어를 위해 전자식 제어를 주로 채택하고 있습니다.
기어봉의 경우, 칼럼이나 다이얼처럼 위치를 P R N D로 이동시킬 때 전기적 신호가 구동축으로 전해집니다. 이는 수동식과 달리 클러치 없이 전자적으로 변속을 제어하는 방식입니다. 즉, 물리적 연결이 아니라 전자적 신호로 작동하는 자동 변속 시스템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