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식과 관련하여 EPS, BPS가 무엇인가요?
주식과 관련하여 EPS, BPS가 무엇인지 궁금합니다.
주식 관련 용어는 왜 이렇게나 많은지 모르겠네요.
설명 부탁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전문가입니다.
EPS는 주당순이익으로 기업이 벌어들인 순이익(당기순이익)을 유통되는 보통주 주식 수로 나눈 값으로, 해당 회사가 1년간 올린 수익에 대한 주주의 몫을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BPS는 주당순자산가치로 기업의 총자산에서 부채를 빼면 기업의 순자산이 남는데, 이 순자산을 발행주식수로 나눈 수치를 말하며 해당 지표가 높을수록 수익성 및 재무건전성이 높아 투자가치가 높은 기업이라고 시장에서 평가하니 참고하세요.
eps는 주당 순이익으로 기업의 순이익을 발행된 주식수로 나눈 값입니다. 주주가 보유한 주식 하나당 얼마나 이익이 생겼는지 보는 것입니다.
bps는 주당 순자산으로 기업의 총 자산에서 총 부채를 뺀 순자산을 발행된 주식수로 나눈값입니다.
안녕하세요. 배현홍 경제전문가입니다.
EPS는 주당순이익이라고 해서 PER 주가수익비율과 관계가 있으며 BPS 주당순자산이라고 해서 PBR 주가순자산비율과 관계가 있습니다.
즉 EPS와 BPS는 엄밀히 이를 보기 보다는 PER와 PBR은 보기 위한 일종의 지표로서 활용하는게 더 크다고 볼 수 있습니다. 각각의 뜻은 다음과 같습니다.
1) PER : 주가수익비율 PER(Price Earning Ratio) = 주가/1주당 당기순이익(납세후) = 주가/ EPS
PER은 주가가 그 회사 1주당 수익의 몇 배가 되는가를 나타내는 지표로 주가를 1주당 순이익(EPS: 당기순이익을 주식수로 나눈 값)으로 나눈 것입니다.
2) PBR : 주가순자산비율(Price Book-value Ratio) PBR= 주가/주당순자산 ( BPS : 순자산을 주식수로 나눈값 )
주가를 주당순자산가치(BPS, book value per share)로 나눈 비율로 주가와 1주당 순자산을 비교한 수치이다. 즉 주가가 순자산(자본금과 자본잉여금, 이익잉여금의 합계)에 비해 1주당 몇 배로 거래되고 있는지를 측정하는 지표입니다.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EPS, BPS에 대한 내용입니다.
EPS는 Earning Per Share 로 주당순이익을 의미하고
즉, 한 주당 어느 정도의 순이익을 내는 지를 알려주는 지표이고
BPS는 Bookvalue Per Share 로 주당 순자산 가치를 의미합니다.
즉, 회사가 갖고 있는 순자산을 발행한 주식수로 나눈 것을 의미합니다.
안녕하세요. 강성훈 경제전문가입니다.
ㅇ EPS는 earning per share로 주당순이익이며, BPS는 Book-value per share로 주당순자산입니다.
즉 순이익, 순자산을 주식 총계로 나눈 수치입니다.
자산과 이익은 비례하지 않기에 EPS와 BPS가 다르게 도출됩니다.
안녕하세요. 정진우 경제전문가입니다.
EPS와 BPS는 주식과 관련된 두 가지 중요한 용어입니다.
EPS는 "Earnings Per Share"의 약자로 한 주당 회사가 얼마나 많은 이익을 내는지 나타냅니다. 쉽게 말해 회사가 벌어들인 이익을 발행된 주식 수로 나눈 값입니다.
BPS는 "Book Value Per Share"의 약자로 한 주당 회사의 순자산 가치를 의미합니다. 이는 회사의 자산에서 부채를 뺀 후 남은 자산을 발행된 주식 수로 나눈 값입니다.
주식 관련 용어가 많은 이유는 주식을 평가하고 분석하는 데 필요한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서 입니다. 고맙습니다.
안녕하세요. 신정훈 경제전문가입니다.
우선 EPS란 주당 순이익이라는 뜻으로, 순이익을 발행주식수로 나눠서 계산을 합니다.
EPS가 높을수록 기업의 수익성이 좋다는 뜻을 나타냅니다.
BPS는 주당순자산으로, 순자산을 발행주식수로 나눠서 계산을 합니다
BPS가 높을수록, 회사의.재무상황이 건전하다는 의미이죠
안녕하세요. 황태현 경제전문가입니다.
EPS는 Earnings Per Share의 약자로, 주당순이익을 의미합니다. 기업의 당기순이익을 발행한 주식 수로 나누어 계산하며, 1주당 얼마만큼의 이익을 창출했는지를 보여줍니다. EPS가 높을수록 주주에게 돌아가는 이익이 크고 기업의 수익성이 좋다고 평가할 수 있습니다.
BPS는 Book-value Per Share의 약자로, 주당순자산을 의미합니다. 기업의 순자산을 발행한 주식 수로 나누어 계산하며, 1주당 순자산 가치를 나타냅니다. BPS가 높을수록 기업의 재무 건전성이 좋고 자산 가치가 높다고 평가할 수 있습니다.
EPS와 BPS는 기업의 가치를 평가하는 중요한 지표로, 다른 기업과 비교하거나 과거 실적과 비교하여 투자 판단을 내리는 데 활용됩니다. 또한, PER(주가수익비율)과 PBR(주가순자산비율)을 계산하는 데 사용되기도 합니다.
도움되시길 바랍니다.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EPS는 기업이 벌어들인 순이익(당기순이익)을 유통되는 보통주 주식 수로 나눈 값으로, 해당 회사가 1년간 올린 수익에 대한 주주의 몫을 나타내는 값입니다.
BPS는 주당 순자산가치라고해서 기업의 총자산에서 부채를 빼면 기업의 순자산이 남는데, 이 순자산을 발행주식수로 나눈 수치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