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화학

활달한파리매77
활달한파리매77

러시아의 오염수 방류에 대해서 궁금합니다.

오늘 뉴스를 보니 일본은 30년전 러시아 오염수 방류에 대해 반대했다는 내용을 뉴스를 통해 접했습니다. 러시아에서 방류했던 오염수는 현재는 과학적으로 유해 정도 등 입증된 내용이 있는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신기한친칠라145
      신기한친칠라145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

      30년 전에는 오염수를 정화할 만한 기술력이 없었던 것으로 파악 됩니다. 그렇더라도 그랗게 일본도 방류하면 안되는 것입니다.


      그린피스 관계자들이 발견했습니다.


      보트로 옮겨타 다가가자, 물대포를 쏘며 저항합니다.


      지난 1993년 10월 입니다.


      [존 스프랜지/당시 그린피스 조사단 : 저 배엔 러시아 핵잠수함에서 나온 핵폐기물이 실려 있습니다. 블라디보스토크에서 남쪽으로 130㎞ 떨어진 바다에 이를 버리러 가는 길입니다.]


      옐친 당시 러시아 대통령의 방일 직후 이뤄진건데, 일본 정부는 강하게 반발했습니다.


      결국 폐기물을 바다에 버리는 것을 금지하는 국제적 약속인 런던 협약의 내용도 바꾸며 러시아를 막았습니다.


      그랬던 일본은 스스로 바다에 오염수를 버리려고 하는 겁니다.


      [숀 버니/그린피스 수석 원자력 전문위원 : 당시 일본이 러시아가 해양 투기 대신 자체 정화 설비를 갖출 수 있게 자금을 지원했던 것을 보면, (이번 결정은) 이중 잣대의 위선인 거죠.]


      이번엔 우리가 일본의 방류를 막아야 합니다.


      하지만 이번 시찰은 도움이 안될 거란 지적입니다.


      [숀 버니/그린피스 수석 원자력 전문위원 : 한국 정부의 주 관심사가 보건과 어업 등 한국의 환경과 국민의 보호, 장기적 관점에선 국가의 안녕에 있다면, 왜 일본의 방류를 돕는 일을 하는 건가요.]


      일본의 이번 방류 결정은 유엔해양법 협약에도 어긋납니다.


      지금이라도 국제법에 따른 가처분 조치부터 해나가야할 필요가 큽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박정철 과학전문가입니다.

      러시아와 같은 산업화된 국가들에서 발생하는 오염수는 다양한 유형의 화학물질과 중금속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들은 환경과 생물체에 해를 끼칠 수 있습니다. 특히 물 생태계에서 이러한 오염물질은 식물, 동물, 그리고 최종적으로는 사람들까지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그러나 공식적인 보고서나 연구 결과 없이는 구체적인 영향이나 유해성을 정확하게 파악하기 어렵습니다. 각각의 경우에 따라 오염도, 방류 위치, 주변 환경 등 다양한 요소가 고려되어야 하며, 이 모든 것이 합쳐져서 최종적인 영향을 결정합니다. 오염수 방류 문제를 관리하고 예방하기 위해 여러 국제 조약과 기준들이 존재합니다. 이런 문제가 발생하면 보통 해당 국가의 환경 기관이나 국제 기구(예: 세계보건기구) 등이 조사를 실시하고 결과를 공개합니다.

    • 안녕하세요. 박준희 과학전문가입니다.


      과거 러시아의 오염수가 문제점이 있다면 지금의 우리모두가 알았을텐데 아직 모른다는건 문제가 없었던것으로 판단됩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