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어제저녁 달을쳐다보았는데주황색이였어요

어제저녁 달을쳐다보았는데주황색이였어요 달이 크기도하였지만 집사람이랑 같이보았는데 너무놀라더라구요 왜이렇게 보이는건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9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박형진 과학전문가입니다.

    대기중에 옅은 안개가 낀다든지 아니면 달빛이 산란되는 아주 흐릿한 고층운의 영향등으로 달이 주황색으로 보이는 경우가 가끔씩 있습니다

    그런 경우였던거 같습니다

  • 검붉은코뿔소 34
    검붉은코뿔소 34

    안녕하세요. 김민규 과학전문가입니다.

    이유는 빛의 산란과 밀접한 연관이 있습니다.

    빛의 파장이 길어지게 되면 붉은 빛을 띠게 되는데 아마 질문자님께서 여쭤본 그 날이 안개 등으로 빛의 산란이 심했던 날로 예상 됩니다.

  • 대기는 태양 빛을 산란시키는데, 빛의 파장에 따라 산란 정도가 달라집니다. 빛의 파장이 길어지면(주로 빨간색), 주변 대기에 더 많이 산란되어 주변에 붉은 빛이 퍼지게 됩니다. 이 때문에 달이 일부 주변 대기에서 산란된 빛을 받아 주황색으로 보일 수 있습니다.

    달이 뜨거나 지는 동안에는 태양광이 대기를 통과하는 경로가 길어져 더 많은 대기를 통과하게 됩니다. 이로 인해 주변 대기에 의해 파장이 긴 빛이 더 많이 산란되어 주황색 또는 붉은 색상이 강조될 수 있습니다.

    대기 중에는 먼지, 스모그, 수증기 등의 입자들이 존재합니다. 이러한 입자들이 빛을 산란시키는데, 주로 파장이 긴 빛을 산란시키기 때문에 주황색 또는 붉은 색상이 강조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학영 과학전문가입니다.대기는 흐린 날씨나 대기 중의 먼지, 스모그 등의 입자로 인해 흡수와 산란을 통해 태양 빛을 변형시키는 경향이 있습니다. 이러한 변형은 파장이 긴 빛인 주로 붉은 빛을 더욱 강조하여 달이 주황색으로 보이게 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태경 과학전문가입니다.

    달이 주황색으로 보이는 이유는 달의 색이 그렇게 변한것이 아니고 지구에 있는 대기에 의해 빛이 산란되어 약간 붉게 보이는 것입니다 우주에서 보면 회색의 달 색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지구와 태양, 달이 일직선 상에 위치하면서 일어납니다. 이때 태양에서 발생한 빛이 지구 대기를 통과하면서 붉은 빛으로 바뀌어 달에 반사되기 때문에 달이 주황색 보이게 되는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이상현 과학전문가입니다.

    저녁시간에 보이는 달은 태양의 노을과 마찬가지로 비스듬한 각도로 지구에 빛이 입사되면 노을처럼 빛이 산란되서 붉게보일 수 있습니다.

    크기도 산란효과에의해 크게보일 수 있고, 일출이나 일몰전 해가 크게보이는것과 비슷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형윤 과학전문가입니다.

    달이 주황색으로 보이는 원리는 대기광학 현상입니다. 지구의 대기광학 현상으로 인해 달의 빛이 붉은, 주황색 또는 황색으로 보일 수 있습니다. 이는 태양빛이 지구의 대기를 통과할 때, 파장이 길고 적색 계열의 빛이 다른 색보다 덜 흡수되어 지구의 그늘진 부분으로 향하는 빛 중 적색 계열의 빛이 더 많아져서 발생합니다. 이때 지구의 그늘진 부분으로 향하는 빛 중에서는 파장이 짧은 파란색 계열의 빛이 더 많이 흡수되어 주황색, 황색 또는 붉은색으로 보이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이조은 과학전문가입니다.


    달빛이 노란색에서 주황색으로 보였다면 초저녁무렵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빛의 파장이 구름에 공기에 어떻게 반사되느냐에 따라 우리 눈에 보이는 색이 결정됩니다.

    크기의 경우는 달이 공전을 하다가 진짜로 지구와 가까워졌을 경우와 작은나무나 건물에 둘러쌓여서 우리 눈에 같은 크기임에도 크게 보이는 착시현상으로 설명됩니다.

    궁금증 해결하시고 즐거운 하루 보내시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