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구가 물로 덮여 있는 이유가 무엇인가요?
지구의 바다면적만 줄어든다면 인구가 살수 있는 면적도 더 넓어질텐데 물이 너무 많은것 같아요 그렇다면 지구는 왜 물로 덮여 있는가요? 물이 없으면 지구가 어떤 모습일까요?
안녕하세요. 형성민 과학전문가입니다.
지구가 물로 덮여 있는 이유는 여러 가지가 있지만, 대표적으로는 지구의 초기에 우주에서 떨어지던 얼음과 먼지가 충돌하여 수성, 금성, 화성과는 달리 대기가 없고 주변 공간의 영향을 받지 않는 지구의 표면에 충돌하면서 수증기와 물이 존재하게 되었고, 이들이 적절한 기후 조건에서 수분 주기가 유지되며 물이 지구 표면을 덮게 된 것으로 추정되고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김경렬 과학전문가입니다.
지구가 생성되었을 때 약 46억년전 원자핵의 발열과 수천의 미행성체와 운석의 충돌로 지구는 녹은 상태였고 그 당시에 지구핵은 밀도차에 의해서 만들어졌읍니다.지구 핵이 분리될 때 개스는 방출되었읍니다. 이 가스는 지구표면으로 기포상태로 외부로 빠져나오게 되었읍니다. 이러한 개스를 방출하는 outgassing이라 불리는 과정으로 원시대기가 생성되었읍니다. 이러한 최초의 단계에서 지구는 대기를 구성하기에 너무 뜨거운 상태였고 어떤 개스는 과열상태로 대기권 밖으로 탈출했읍니다.그러나 지구가 충분히 식어가자 비가 내리기 시작했고 끊임없이 계속되었읍니다.대기의 생성으로 지구를 작은 운석으로부터 보호되었읍니다.지구를 충돌하기 전에 타버렸읍니다. 구름이 지구를 덮자 태양으로부터 방사선들의 일부는 반사되고 지구가 더 빨리 식게했읍니다.결국은 지구표면이 고체로 변하고 지각판이 생성되었읍니다.수백만년 후 지구는 끝내 바다를 가지게 되었고 육지도 만들어졌읍니다.
안녕하세요. 류경범 과학전문가입니다.
그 이유에 관해서는 다양한 가설이 있지만, 지구가 생성된 태초의 환경에 수소가 가장 흔했기 때문이라 합니다.
즉, 태초의 우주 공간에 수소가 가장 흔했고, 수소들이 뭉쳐 별이 생기고 별 속 온도가 올라가면서 산소를 만들고 산소와 수소가 만나 물이 만들어졌다는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