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학문

물리

망고마더77
망고마더77

비바람에 강도는 어떻게 측정하나요?

오늘은 오랜만에 유난히 비바람이 강하게 부는 하루에 시작이네요. 문득 이렁 비바람에 강도에 대해 뉴스에서도 전날 나오던데 이런 강도는 어떻게 측정하게 되는 건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9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검붉은코뿔소 34
    검붉은코뿔소 34

    안녕하세요. 김민규 과학전문가입니다.

    우량계를 통해서 측정하게 됩니다. 이 우량계에 일정 시간 동안 비를 받아서 해당 양을 측정하여 강수량을 나타내게 됩니다.

    또한 바람의 강도는 풍속계를 이용하여 해당 바람의 세기를 측정하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이형민 과학전문가입니다.

    강수량은 우량계를 통해서 일정 시간동안 내린비를 받아서 수치화 하는것이고, 풍속은 풍향계를 사용하여 바람개비의 회전력을 수취화하여 나타내는것입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손성민 과학전문가입니다.

    비바람의 강도는 일반적으로 바람계를 사용하여 측정됩니다. 바람계는 바람의 세기에 따라 바늘이 움직이는 원리를 이용하여 바람의 강도를 나타냅니다. 그리고 레이다를 사용하여 바람의 강도와 방향을 측정할 수도 있습니다. 항공기를 이용하여 바람의 강도를 측정하는 방법도 있지만, 일반적으로는 비용이 많이 들기 때문에 사용되지 않습니다. 이렇게 여러 가지 방법을 조합하여 바람의 강도를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습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아래 추천과 좋아요 부탁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김재훈 과학전문가입니다.

    비바람의 강도는 크게 풍속과 강수량으로 측정됩니다.

    풍속은 풍향계를 사용하여 측정합니다. 풍향계는 바람의 방향을 측정하는 장치로, 바람의 방향에 따라 회전하는 바람개비가 있습니다. 풍향계의 바람개비가 회전하는 속도를 측정하여 풍속을 계산합니다.

    강수량은 우량계를 사용하여 측정합니다. 우량계는 일정한 시간 동안 내린 비의 양을 측정하는 장치로, 우수판에 떨어진 비를 측정하여 강수량을 계산합니다.

  • 안녕하세요. 장대은 과학전문가입니다.

    풍속을 측정하는 방법에는 초음파진동자를 사용합니다^^

    초음파진동자를 센서로 사용하여 쌍을 이루는 진동자 사이에서 발생 하는 초음파를 송수신하고

    이 부분에 공기흐름이 지나면 초음파의 전파가 지연되는 현상이 발생합니다

    이 신호를 이용하여 풍속을 계산 한다고 하네요

  • 안녕하세요. 강상우 과학전문가입니다.

    비바람의 강도는 풍속계를 사용하여 측정합니다. 풍속계는 풍속을 측정하는 기구로, 풍향각풍속을 측정할 수 있습니다. 풍향각은 바람이 불어오는 방향을 나타내며, 풍속은 바람의 세기를 나타냅니다.

    풍속은 바람이 1초 동안 이동한 거리를 나타냅니다. 일반적으로 미터/초(m/s)로 표시합니다. 풍속이 10m/s 이상이면 강풍, 20m/s 이상이면 태풍으로 분류합니다.

    의 강도는 강우량을 사용하여 측정합니다. 강우량은 일정 시간 동안 내린 비의 양을 나타냅니다. 일반적으로 mm로 표시합니다. 강우량이 50mm 이상이면 호우로 분류합니다.

  • 안녕하세요. 강종훈 과학전문가입니다.


    비바람의 강도는 일반적으로 바람의 속도로 측정됩니다. 바람의 속도는 미터/초(m/s)나 킬로미터/시간(km/h) 단위로 표시됩니다. 이를 측정하기 위해 풍속계 또는 기상 관측 장비를 사용합니다. 풍속계는 다양한 종류와 원리로 동작할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바람의 속도와 방향을 측정합니다. 바람의 강도는 바람의 속도에 따라 다양한 등급으로 분류되며, 일반적으로 0에서 12까지의 범위에 해당하는 비평가 바람부터 폭풍 바람까지 다양한 강도로 표시됩니다.

  • 안녕하세요. 이충흔 과학전문가입니다.

    바람의 강도는 보퍼트풍력계급에 의해 정해집니다.

    -​영국의 해군 제독 보퍼트가 만든 풍력계급인

    -​처음에는 해상상태로만 분류가 되다가, 이후에 육상에서도 사용할 수 있도록 만들어졌습니다.


    - ​0등급∼12등급까지 총 13개의 등

    ▶0등급: 풍속(m/s) 0∼0.2m/s의 바람으로 고요바람이라 하며, 육지에서 연기가 위로 똑바로 올라가는 상태

    ▶1등급: 풍속 0.3∼1.5m/s의 바람으로 실바람이라 하며, 육지에서 풍향은 연기가 날리는 것으로 알 수 있으나, 바람개비에는 감지가 안 되는 정도로 보는 바람

    ▶​2등급: 1.6∼3.3m/s의 바람으로 남실바람이라 하며, 육지에서 바람이 얼굴에 감촉되고 나뭇잎이 흔들리며 바람개비에 감지가 되는 정도

    ▶​3등급: 3.4∼5.4m/s의 바람으로 산들바람이라 하며, 나뭇잎과 가는 가지가 쉴새없이 흔들리고 깃발이 가볍게 휘날리는 정도

    ▶​4등급: 5.5∼7.9m/s의 바람으로 건들바람이라 하며, 먼지가 일고 종이조각이 날리며 작은 나뭇가지가 흔들리는 정도

    ▶​ 5등급: 8∼10.7m/s의 바람으로 흔들바람이라 하며 잎이 무성한 작은 나무 전체가 흔들리고 강물에 잔물결이 일어나는 정도

    ▶​6등급: 10.8∼13.8m/s의 바람으로 된바람이라고 하며, 큰 나뭇가지가 흔들리고 전선이 흔들리며 우산받기 곤란한 정도의 바람

    ▶​7등급: 13.9∼17.1m/s의 바람으로 센바람이라하며, 나무가 전부 흔들리고 걷기가 곤란한 정도

    ▶​8등급: 17.2∼20.7m/s의 바람으로 큰바람이라고 하며, 잔가지가 꺾이고 걸어 갈 수 없는 정도

    ▶​ 9등급: 20.8∼24.4m/s의 바람으로 큰센바람이라고 하며 건축물에 다소 손해가 있는 정도

    ▶​10등급: 24.5∼28.4m/s의 바람으로 노대바람이라하며, 나무가 쓰러지고 건축물 큰 피해가 있는 정도

    ▶​11등급: 28.5∼32.6m/s의 바람으로 왕바람이라 하며, 건축물에 큰 손해가 있을 정도의 바람

    ▶​12등급: 32.7m/s이상의 바람으로 싹쓸바람이라 하며, 보기 드문 큰 손해를 일으킬 정도의 바람

    지금까지 바람의 강도를 나타내는 보트풍력 계급에 대에 설명드렸어요.

  • 안녕하세요. 정준민 과학전문가입니다.

    풍속을 감지하는 것과 같이 작용합니다.

    비일때는 풍속에다가 저항까지 고려는 하는데요

    풍속을 감지하는 기계와 같이 쓰신다고 보면 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