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반려동물 건강 이미지
반려동물 건강반려동물
반려동물 건강 이미지
반려동물 건강반려동물
세히 세히
세히 세히23.12.14

질문이 많아서 한번에 다 물어봐요 죄송합니다

반려동물 종류
강아지
1.육식치아에서 설명중 한가지가 위턱의 넷째 어금니와 아랫턱의 첫째 어금니라 던데 육식치아도 어금니라는건가요? 근데 왜 따로 적어둔건지 ..

2.티비보면 유기견들 이빨 보면 나이가 몇살인지 측정하잖아요 그럼 관리가 안된 어린강아지여도 치석끼고 나이든 강아지 처럼 마모 되어서 착각하진 않나요? 어린친구들은 작아서 구별은 할지라도 요크셔나 말티즈같은 친구들은 이빨이 작아서 헷갈릴거 같아요 이빨 개수로 나이를.확인 하나요?


3.고양이들 발정에 대해

무발정기 끝나고 교배기 시작이라건데 그럼 겨울동안 무발정기인데 그동안 교배를 할수없는거에요? 4개월동안 임신이 불가능한거애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2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이은수 수의사입니다.

    1. 사람을 기준으로 어금니를 생각하면 안됩니다. 치아 발생학적인 부분에서 송곳니 다음 안쪽으로 배열된 이빨들을 어금니로 구분하는것입니다.

    2. 예, 착각을 합니다. 그래서 치아 구별법은 2~3세 까지만 유효한것으로 여기고 그보다 더 나이가 들어 있는것으로 판단되면 신뢰하지 않습니다. 치아 마모도로 평가합니다.

    3. 예, 발정 휴지기에 들어가서 배란 전단계의 호르몬 사이클이 돌지 않고 멈추게 되어 교배 시도조차 하지 않게됩니다. 그래서 임신이 불가능해집니다.


  • 안녕하세요. 이광섭 수의사입니다.

    1. 육식치아는 육식동물의 특징적인 치아로, 음식물을 찢거나 뜯는 역할을 합니다. 육식치아는 위턱의 넷째 어금니와 아랫턱의 첫째 어금니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를 열육치라고도 부릅니다. 육식치아도 어금니의 일종이지만, 초식동물의 어금니와는 모양과 기능이 다르기 때문에 따로 구분하여 적은 것입니다. 초식동물의 어금니는 납작하고 표면이 울퉁불퉁하여 음식물을 잘게 부수는 역할을 합니다.

    2. 강아지는 6개월령 전후로 유치가 빠지고 영구치가 나기 시작하며, 약 8개월령 전후에는 강아지의 이빨이 전부 영구치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유치의 존재 여부는 강아지가 아기 강아지인지 성견인지 구분하는데 큰 도움을 줍니다. 강아지의 이빨이 모두 영구치인 경우 치아의 치석 및 얼룩 상태 등으로 강아지의 나이를 추측할 수 있습니다. 부러진 치아가 없고, 치석 및 얼룩이 적을수록 강아지의 나이가 적다고 추측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치아의 상태는 관리 상태에 따라 차이가 많이 날 수 있기 때문에 정확한 측정 요인은 될 수 없습니다. 관리가 안된 어린 강아지여도 치석이 끼거나 치아가 마모될 수 있으므로, 나이를 착각할 수 있습니다. 요크셔나 말티즈 같은 작은 견종의 경우에도 치아의 개수로 나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3. 고양이의 발정기는 1년에 두 번으로 2월~4월 정도의 봄과 6월~8월 정도의 여름에 주로 옵니다. 고양이의 발정기는 봄과 여름의 2~3개월 동안 약 2~3주간의 발정 기간을 거치며, 수차례 반복됩니다. 고양이의 발정기는 태양에 의한 일조 시간의 길이가 영향을 줍니다. 따라서 겨울동안 무발정기인데 그동안 교배를 할 수 없습니다. 4개월 동안 임신이 불가능한 것은 아니지만, 발정기가 오지 않는다면 임신할 가능성이 매우 낮습니다. 하지만 기온 차이에 큰 영향을 받지 않는 집고양이들은 계절과 시기에 상관없이 발정기가 올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