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이비인후과 이미지
이비인후과의료상담
이비인후과 이미지
이비인후과의료상담
굳센때까치29
굳센때까치2923.09.13

성인에서 발생하는 중이염은 어떤 경우에 나타날 수 있나요?

나이
35
성별
남성

성인에서 발생하는 중이염은 어떤 경우에 나타날 수 있나요? 성인에서 중이염의 원인과 예방 및 치료 방법을 소개해주세요.

또, 급성 중이염과 만성 중이염은 어떻게 구분되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병관 의사입니다.

    중이염이 생기는 중요 원인은 감기 (즉, 바이러스에 의한 상기도감염) 입니다. 바이러스 감염에 의해 귀의 통증이 발생할수 있고, 해열진통제 복용하면 통증 완화에 도움이 됩니다. 증상이 지속되고 염증 심해지면 항생제 복용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급성중이염이 악화되면서 호전악화를 반복하면 만성중이염으로 진행할수도 있습니다. (보통 3개월 기준으로 분류한다고 합니다)


  • 관련 전공이 아니라 조심스럽지만

    성인의 중이염도 어린이의 중이염과 같은 기전으로 발생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ex: 감기, 외부에서 귀를 자극하는 등

    하지만 성인의 경우 이관이 좁고 경사가 높아서, 감기 -> 중이염 으로 가는 확률이 낮긴 합니다

    https://www.amc.seoul.kr/asan/mobile/healthinfo/disease/diseaseDetail.do?contentId=32178


  • 안녕하세요. 신성현 의사입니다.

    급성 중이염은 귀의 고막 안의 공간인 중이(중간 귀)가 감염되어 급성 염증이 발생한 것을 의미합니다. 대부분 감기의 후유증으로 발생합니다. 유소아에게 가장 흔하게 나타나는 감염 질환 중 하나입니다.

    급성 중이염의 원인은 상기도 감염, 즉 감기입니다. 목이나 코의 염증이 귀안의 공기를 환기해 주는 ‘이관’이라는 관을 따라 귀로 번지면서 발생합니다. 어느 연령에서든 급성 중이염이 발생할 수 있지만 유소아에게서 매우 흔하게 발생합니다. 그 이유는 유소아의 이관이 염증이 잘 번지는 구조인 데다가, 어른보다 자주 감기에 걸리기 때문입니다. 알레르기성 비염 등 알레르기성 질환이 있는 경우, 보육 시설에 다니는 경우, 젖병을 물고 자는 경우, 간접흡연에 지속적으로 노출되는 경우 더 흔하게 발생합니다.

    예방은 감기를 예방하는 방법과 동일합니다. 결국 인후염이 전파되는 식이기 때문입니다. 손위생을 철저히하고 마스크를 착용하면서 감기 를 예방해야 합니다.

    만성 중이염의 원인은 복합적입니다. 이중 가장 중요한 원인은 고막 안에서 공기를 환기시키는 이관의 기능 문제와 세균 등의 미생물에 의한 감염입니다. 또한 여러 원인 때문에 중이 안에서 생긴 피부 각질에 의해 형성된 진주종이 귀 안의 뼈를 조금씩 침식시키며 만성적인 염증을 일으키기도 합니다. 이처럼 진주종에 의한 만성 중이염은 진주종성 만성 중이염이라고 합니다.

    만성 중이염은 귀를 진찰하여 바깥귀와 고막의 모양을 관찰하여 진단합니다. 만성 중이염 환자에게는 고막의 구멍이나 눌어붙음, 고막 주변의 각질 축적, 파괴된 뼈의 모습 등이 확인됩니다. 순음청력 검사를 통해 중이염으로 인한 청력 감소의 정도를 검사합니다. 영상의학 검사는 측두골 촬영, CT를 통해 귀와 귀 주변의 뼈인 측두골 내부의 상태를 확인시켜 줍니다. 이 검사를 통해 만성 중이염의 염증이 어디까지 퍼졌는지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 때문에 이 검사는 병의 범위를 확인하고, 수술의 난이도를 예상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귀에서 고름이 나오는 경우, 고름을 채취하여 세균 배양 검사를 시행하고 검사 결과에 맞추어 항생제 치료를 진행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