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지개는 어떻게해서 생기는건가요?
비온다음이나 날이진짜 밝을떄 가끔 무지게가보이는데요 요즘은 잘안보이긴하지만.. 무지개는 어떻게해야 생기는건가요 ???
안녕하세요. 부지런한개미367입니다.
무지개는 하늘에 떠 있는 빗방울에 의해 생기는데 빗방울 반대쪽에서 오는 햇빛이 빗방울을 통과하면서 굴절, 분광되면서 다양한 색깔이 생기게 되는 것입니다.
안녕하세요. 지식한입입니다.
무지개는 일반적으로 비가 내리는 날씨에서, 태양이 비를 비추면서 생기게 됩니다. 비는 태양빛을 구성하는 여러 가지 색깔의 빛들을 분산시키는 물방울들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이렇게 분산된 빛은 일반적으로 붉은색, 주황색, 노란색, 초록색, 파란색, 남색, 보라색으로 이루어진 무지개색 스펙트럼을 형성합니다.
태양빛은 하얀색으로 보이지만, 실제로는 여러 가지 색깔의 빛들이 혼합되어 있습니다. 이러한 빛들은 각각 다른 파장을 가지고 있으며, 파장이 짧은 빛일수록 보라색과 같은 색으로 보이고, 파장이 긴 빛일수록 빨간색과 같은 색으로 보입니다.
비를 비추는 태양빛은 물방울 안으로 들어가면서 각 물방울에서 반사되어 나오게 됩니다. 이때 빛은 물방울에 들어갈 때와 나올 때의 방향이 서로 다르게 바뀌게 되는데, 이를 굴절(refraction)이라고 합니다. 이 굴절은 물방울 안에서 파장이 짧은 빛일수록 더욱 큰 각도로 굴절되므로, 물방울에서 나오는 빛은 각 색깔별로 서로 다른 방향으로 굴절되게 됩니다.
이렇게 각각 다른 색깔의 빛이 서로 다른 각도로 굴절되면서, 빛이 물방울에서 나와서 다시 공기로 들어오면 빛의 색깔이 분산되어 무지개가 형성됩니다. 무지개의 색깔은 빛의 파장에 따라 결정되기 때문에, 무지개는 항상 일정한 색깔 순서를 가지며, 빨간색부터 보라색까지 이어지는 색깔의 순서를 따릅니다.
안녕하세요.으캬캭입니다.
무지개는 비가 오고 바람이 불면서 바람이 먼지나 작은 물방울을 끌고 다니면서 빛이 반사되어 보이게 됩니다. 빛이 반사되는 곳에 따라 다양한 색깔의 무지개가 보이게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