케인즈학파에서 이야기하는 야성적충동??

2023. 01. 13. 16:37

안녕하세요. 케인즈학파에서 투자는 이자율이 아니라 기업가의 야성적 충동에 의해서 결정된다고 하는데 이 야성적 충동이란것이 뭔가요??


아하에 질문하고 궁금증을 해결하세요! 지금 가입하면 125AHT을 드려요! 아하에 질문하고 궁금증을 해결하세요! 지금 가입하면 125AHT을 드려요!

총 5개의 답변이 있어요.

안녕하세요. 이정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야성적 충동이란 경제 사상가 케인스가 인간의 비경제적 본성을 가리키는 개념으로 처음 언급했으며 심리적 요인이야말로 경제를 움직이는 원동력이라고 강조했습니다. 애덤 스미서의 보이지 않는 손이 고전 경제학의 핵심이었다면 케인스의 야성적 충동은 지본주의에 내재된 불안정성을 설명하는 새로운 시각의 핵심이라 할 수 있습니다. 경제학적 개념에서 야성적 충동은 경제에 내포된 불안정하고 일관성이 없는 요소를 말하며, 사람들이 모호성이나 불확실성과 맺는 독특한 관계를 가리킵니다. 애거로프와 쉴러는 야성적 충동을 위와 같이 설명합니다. 또한 거시경제[학자들은 거시경제학을 과학적으로 만들려고 노력했으며, 그 과정에서 사람들이 완전히 합리적인 경제적 동기만을 가졌다는 가정하에 경제의 작동 방식에 집중하는 연구 구조와 원칙을 적용했다고 지적했습니다.

2023. 01. 13. 16:46
답변 신고

이 답변은 콘텐츠 관리 정책 위반으로 비공개되었습니다.

신고사유 :
    답변 삭제

    이 답변은 작성자의 요청 또는 모니터링으로 삭제되었어요.

    이 답변은 비공개되어 본인만 확인할 수 있어요.

    경제/경영 프리랜서

    안녕하세요. 정진우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케인스주의 경제학에서 투자는 기업가의 "야생적 충동" 또는 "야생적 충동"에 의해 결정됩니다. 이 개념은 자신감, 낙관주의, 위험을 감수하려는 의지와 같이 기업가가 새로운 프로젝트와 사업에 투자하도록 이끄는 심리적 요인을 말합니다. 케인즈에 따르면 이러한 동물성 정신은 새로운 프로젝트에 대한 투자 증가로 이어지고 이는 다시 일자리를 창출하고 경제 확장으로 이어지기 때문에 경제 성장의 중요한 원동력입니다. 그러나 이러한 동물성이 부족하면 투자가 저조해지고 경제 성장이 정체될 수 있습니다. 금리가 낮아도 기업이 미래 경제 성장에 대한 확신이 없거나 위험을 감수할 의지가 없으면 투자를 하지 않을 수 있다는 뜻입니다.

    2023. 01. 13. 20:58
    답변 신고

    이 답변은 콘텐츠 관리 정책 위반으로 비공개되었습니다.

    신고사유 :
      답변 삭제

      이 답변은 작성자의 요청 또는 모니터링으로 삭제되었어요.

      이 답변은 비공개되어 본인만 확인할 수 있어요.

      안녕하세요. 손용준 경제·금융 전문가입니다. 야성적 충동(Animal spirits)은 존 메이너즈 케인즈(John Maynard Keynes)가 1936년 발표된 그의 저서 '고용이자 및 화폐 일반이론 (The General Theory of Employment, Interest and Money)’에서 처음으로 사용된 용어로 예를 들어, 소비 의욕(consumer confidence)을 직감, 성향, 감정과 같은 표면적으로 드러나는 것들로 사람의 행동을 설명하기 위한 용어라고 했는 데여. 하지만 야성적 충동으로는 현재의 경제 상황을 설명하기에는 부족함이 있습니다.

      2023. 01. 13. 19:04
      답변 신고

      이 답변은 콘텐츠 관리 정책 위반으로 비공개되었습니다.

      신고사유 :
        답변 삭제

        이 답변은 작성자의 요청 또는 모니터링으로 삭제되었어요.

        이 답변은 비공개되어 본인만 확인할 수 있어요.

        육아 / 심리 / 경제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야성적 충동이란 경제가 인간의 합리적, 이성적 판단에 의해서만 돌아간다고 보지 않으며

        인간의 비경제적인 본성도 경제를 움직이는 하나의 요인이 될 수 있다는 것이니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2023. 01. 13. 18:35
        답변 신고

        이 답변은 콘텐츠 관리 정책 위반으로 비공개되었습니다.

        신고사유 :
          답변 삭제

          이 답변은 작성자의 요청 또는 모니터링으로 삭제되었어요.

          이 답변은 비공개되어 본인만 확인할 수 있어요.

          (주)연희에이아이씨 대표

          안녕하세요. 조한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경제가 인간의 합리적, 이성적 판단에 의해서만 돌아간다고 보지 않고, 인간의 비경제적인 본성도 경제를 움직이는 하나의 요인이 될 수 있다며 케인스가 '야성적 충동'(Animal Spirit) 개념을 언급했죠.

          이는 인간이 그렇게 합리적이고 오류가 없다면 대공황이나 경제위기를 설명하기 어렵다는 인식에서 출발했습니다.

          예를 들면 자신감이 팽배해 경제활동의 과잉을 낳았다가, 자신감이 극도로 위축되면서 자산을 팔고, 투자가 이루어지지 않아 대공황을 낳았다는 해석입니다.

          야성적 충동에 의해 경제가 움직인다는 시각에서는 국가가 시장의 잠재된 창의성을 인정하되 인간의 야성적 충동으로 인한 과잉 현상(IT 버블, 부동산 버블 등)을 억제해야 하므로, 정부의 적극적 시장 개입을 인정하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2023. 01. 13. 17:29
          답변 신고

          이 답변은 콘텐츠 관리 정책 위반으로 비공개되었습니다.

          신고사유 :
            답변 삭제

            이 답변은 작성자의 요청 또는 모니터링으로 삭제되었어요.

            이 답변은 비공개되어 본인만 확인할 수 있어요.

            아래 질문도 확인해보세요!
            AI 추천
            아직 추천 질문이 없습니다.
            아래 질문도 확인해보세요!
            AI 추천
            아직 추천 질문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