액면분할을 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나요?
간혹 너무 비싼 주식이 있는데 액면분할을 안 해서 비싼건지 고평가되어서 비싼건지 판단을 하고 싶습니다. 어디서 확인할 수 있나요?
안녕하세요. 황태현 경제전문가입니다.
주식 가격이 높은 경우, 그 이유가 액면분할을 하지 않아서인지 아니면 고평가된 것인지 궁금해하시는 것 같네요. 액면분할은 주식의 유동성을 높이기 위해 기업이 종종 사용하는 전략 중 하나입니다. 주식이 비싼 이유가 액면분할과 관련된 것인지, 그리고 액면분할 여부를 어디서 확인할 수 있는지에 대해 알려드릴게요.
첫째, 액면분할(Face Value Split)이란 무엇인가요? 액면분할은 기업이 주식의 액면가를 일정 비율로 나누어 주식 수를 늘리는 것을 의미합니다. 예를 들어, 액면가 5,000원짜리 주식을 5:1로 액면분할하면 액면가는 1,000원이 되고, 주식 수는 5배로 늘어나지만 전체 자본금에는 변화가 없습니다. 이 과정에서 주가는 액면분할 비율에 맞춰 조정되어 상대적으로 낮아지기 때문에 더 많은 투자자들이 접근할 수 있게 됩니다.
둘째, 주식이 비싼 이유를 판단하려면, 먼저 그 주식이 액면분할을 했는지 여부를 확인해야 합니다. 주식이 비싼 이유는 주가가 높아서일 수도 있지만, 액면분할을 하지 않아 자연적으로 비싸 보일 수 있기 때문이죠. 예를 들어, 액면분할을 자주 하지 않는 미국의 버크셔 해서웨이 같은 주식은 한 주당 가격이 매우 높지만, 이는 주식의 가치가 높아서일 뿐 액면분할을 하지 않아서 생긴 결과입니다.
셋째, 액면분할 여부를 확인하는 방법입니다. 주식의 액면분할 여부는 다음과 같은 경로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금융 포털 사이트: 네이버 금융, 다음 금융, 구글 파이낸스 등의 금융 정보 포털 사이트에서 해당 주식을 검색하면, ‘기업 개요’나 ‘공시정보’ 탭에서 액면분할과 관련된 공시 내용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주식의 히스토리를 통해 과거에 액면분할이 있었는지도 쉽게 확인할 수 있어요.
2. 한국거래소(KRX) 홈페이지: 한국거래소(KRX) 공식 홈페이지에서 상장 기업의 공시 내용을 조회할 수 있습니다. 회사명 또는 종목코드를 입력하면 해당 기업의 과거 공시 기록을 확인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액면분할과 관련된 사항이 포함되어 있는지 찾을 수 있습니다.
3. 전자공시시스템(DART):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DART)을 통해 액면분할 관련 공시를 조회할 수 있습니다. 기업이 액면분할을 실시하면 반드시 공시를 통해 이를 알리기 때문에, ‘정기보고서’ 또는 ‘임시보고서’ 항목에서 해당 정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넷째, 액면분할을 고려하지 않았을 때의 고평가 판단입니다. 주식이 비싼 이유가 액면분할의 부재 때문이 아니라면, 해당 주식이 고평가된 것인지 살펴봐야 합니다. 이를 위해 P/E(주가수익비율), P/B(주가순자산비율), ROE(자기자본이익률) 등 주요 지표를 사용하여 주식의 가치를 평가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지표들은 주식이 본질가치에 비해 비싼지, 적정한지를 판단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결론적으로, 주식의 비싼 이유가 액면분할 때문인지 고평가 때문인지를 확인하려면, 금융 포털, 한국거래소(KRX) 홈페이지,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DART) 등을 통해 액면분할 여부를 확인하고, 주식의 가치 평가 지표들을 참고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도움되시길 바랍니다.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액면분할 여부에 대한 내용입니다.
공시 자료를 찾아보셔도 되겠지만
더 따르고 확실한 것은 구글 등에서
주식 명과 액면분할로 검색하시면
액면분할 역사를 살펴 볼 수 있을 것입니다.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전문가입니다.
위와 같은 경우에는 해당 공시 등을 통하여도
확인이 가능합니다.
dart 등의 사이트에서 분할 공시 등이 있었는지
확인해보시길 바랍니다.
액면분할 여부를 확인하려면 증권사 애플리케이션이나 금융투자협회 사이트를 이용하는 것이 가장 확실합니다.
증권사 앱에서 주식의 상세 정보를 보면 액면가와 액면분할 기록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금융투자협회(KOFIA) 사이트에서도 주식의 기본 정보와 함께 액면분할 내역을 조회할 수 있습니다.
네이버 금융이나 다음 금융 같은 포털 사이트에서도 주식 종목의 액면분할 기록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액면분할이 이루어지면 주식의 액면가가 낮아지고 주식 수가 늘어나면서 가격이 낮아집니다.
액면분할이 없다면 주식 가격이 비싼 이유는 주가 상승 또는 고평가 때문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