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의료상담

정형외과

충분히능동적인악어
충분히능동적인악어

베인 상처, 아무는 과정에서 압박 드레싱하면 좋을까요?

성별
여성
나이대
30

https://www.a-ha.io/questions/4b737de70ee92ab698ff53c1d4425cdb

전에 손가락을 베이고 새벽에 응급실 방문, 바로 봉합하지 않고 24시간 안에 봉합하면 된다는 이야기를 들어서 소독만 하고 귀가했습니다.

다음날 회사 근처 정형외과에 갔는데 봉합 골든타임은 8시간 내라고 하시면서 피는 더이상 안나니 굳이 봉합할 필요 없다하셨어요. 이틀간격으로 내원하며 소독하였습니다.

오늘은 시간 여건이 안되어서 다른 외과 병원에 내원했는데 드레싱 해주시는데 붕대를 좀 세게 감으셨는지 얼얼? 저릿할 정도로 손가락에 압박감이 느껴져서요 ㅜ 이미 아무는 과정의 베인 상처를 압박 드레싱 할 이유가 있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8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아하의 의료상담 전문가 의사 김민성입니다. 질문해주신 내용 잘 읽어보았습니다.

    베인 상처가 아무는 과정에서 압박 드레싱이 필요한 경우에 대해 궁금해하시는군요. 일반적으로 베인 상처가 치유되는 동안 압박 드레싱은 보통 권장되지 않는데, 이는 감염 예방과 상처의 자연스러운 회복을 방해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상처 부위에 너무 강한 압박을 가하면 혈액 순환이 원활하지 않아 불편함을 느끼거나 통증이 있을 수도 있습니다. 게다가 드레싱이 너무 꽉 조여져 있으면 오히려 상처 주변 조직에 부담을 주어 회복을 늦출 수 있습니다.

    다만, 상처의 유형이나 상태에 따라 전문의가 필요하다고 판단할 경우 압박 드레싱을 사용하기도 합니다. 이는 출혈을 막거나 상처가 벌어지지 않도록 하기 위한 조치일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미 감염의 징후가 보이거나 상처가 잘 아물고 있다면 압박 드레싱이 꼭 필요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만약 현재 드레싱이 불편하거나 통증이 지속된다면, 병원에서 드레싱의 상태를 재점검 받는 것이 좋습니다. 전문의와 상의하여 드레싱을 조정하거나 변경하는 것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손가락이 저리거나 차가워진다면 드레싱이 너무 꽉 조여진 것일 수 있으므로 이 점도 꼭 확인하세요.

    저의 답변이 궁금증 해결에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김의균 물리치료사입니다.

    베인 상처가 잘 아물고 있다면 과도한 압박은 오히려 혈류장애를 일으킬 수 있고 그로 인해 신경의 압박을 발생시켜 저림증상등을 발생시킬 수 있습니다. 상처가 깊지 않고 감염의 징후가 없다면 느슨하게 드레싱을 해주시는게 더 좋을 것으로 생각됩니다.

    빠른 쾌유를 기원합니다.

    감사합니다 수고하세요~

  • 안녕하세요. 김덕현 물리치료사입니다.

    상처가 아물고있다면 과한 압박은 오히려 혈류장애나 신경압박을 유발해 저림증상이 나타날수있습니다~

    상처가 깊지않고 감염의 징후가없다면 좀더 느슨한 드레싱을 사용하는것도 괜찮습니다~ 빨리 몸이 호전되시기를 바라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정확한 진단과 치료는 의사의 진료통해 확인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아래 내용은 참고만 해주세요.

    상처가 아물어가는 과정에서 압박 드레싱을 하는 이유는 여러 가지가 있을 수 있습니다. 압박은 상처 부위의 부종을 감소시키고, 혈액이나 체액이 과도하게 몰리는 것을 막아 치유를 촉진할 수 있습니다. 또한, 압박은 상처 부위를 고정시켜 움직임을 줄여줌으로써 추가적인 손상을 예방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하지만 압박이 너무 강하면 혈액 순환을 방해하여 오히려 치유를 늦출 수 있고, 통증이나 저림 등의 불편함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현재 손가락에 압박감이 느껴진다면, 드레싱을 너무 세게 한 것일 수 있습니다. 압박 드레싱은 적절한 강도로 시행해야 효과적이며, 불편함이 느껴진다면 의료진에게 문의하여 드레싱 압력을 조절하는 것이 좋습니다. 의료진과 상의하여 현재 상처 상태에 맞는 적절한 드레싱 방법을 결정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안녕하세요. 송진영 물리치료사입니다.

    압박 드레싱은 출혈을 막고 부종을 줄이기 위해 사용될 수 있습니다. 이미 아무는 과정이라면 과도한 압박은 혈액순환에 방해가 될 수 있어 불편한 느낌이 들 수 있습니다. 압박이 너무 심하게 느껴지면 병원에 다시 방문하여 조정해 달라고 요청하는 것이 좋습니다!

  • 연구 결과에 따라서 봉합 골든 타임을 6-8시간이라고 보기도 하며, 24시간 이내에 봉합하면 예후에 큰 차이가 없다고 보기도 합니다. 각설하고 열상에 대한 드레싱을 하는데 붕대를 반드시 세게 감을 필요는 없습니다. 출혈이 지속되거나 할 경우에는 필요에 따라서 압박 드레싱을 할 수 있긴 합니다. 손가락이 저리고 얼얼할 정도라면 살짝 풀어준뒤 다소 느슨하게 다시 감아주는 것이 적절할 것으로 사료됩니다.

  • 안녕하세요. 김현태 물리치료사입니다.

    상처를 압박하는 이유는 출혈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것인데요, 손가락의 불편감이 있는 경우에는 붕대를 다시 감으셔도 크게 문제는 없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수비 의사입니다.

    베인 상처의 회복 과정에서 압박 드레싱을 하는 것은 다소 혼동이 있을 수 있습니다. 보통 압박 드레싱은 출혈이 있을 때 출혈을 멈추고, 부종을 줄이며, 상처 부위의 혈액 순환을 개선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특히 급성기에는 과도한 출혈을 멈추는 데 유용하지만, 이미 출혈이 멈춘 상태에서 과도하게 압박을 가하는 것은 불편함을 유발할 수 있죠.

    특히 봉합이 필요하지 않은 상황에서 과도한 압박은 손가락의 혈액 순환에 부담을 줄 수 있어, 저릿하거나 얼얼한 느낌을 받을 수 있구요

    그렇지만 상처의 상태에 따라 다를 수 있습니다. 만약 상처가 여전히 감염의 위험이 있거나 붓거나 고름이 생길 우려가 있다면, 압박 드레싱을 통한 상처의 안정화가 도움이 될 수도 있습니다. 다만, 압박이 너무 강하거나 불편하다면 드레싱을 풀고 다시 확인하는 것이 좋아요

    상처가 아물고 있는 중이라면, 불필요한 압박은 피하는 것이 회복에 더 좋습니다. 압박 드레싱의 필요성에 대해서는 담당 의사와 다시 상의하여, 상처 회복에 가장 적합한 방법을 찾는 것이 좋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