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생활꿀팁 이미지
생활꿀팁생활
생활꿀팁 이미지
생활꿀팁생활
와일드한참고래293
와일드한참고래29322.01.16

바둑의 유래는 어떻게 되나요?

장기가 중국에서 유래된건 알겠는데.. AI와 대결한걸로 유명해진 바둑은 어느나라에서 시작되었으며 그 유래는 어떤지 알고 싶습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6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바둑의 기원에 관해서는 여러 설이 있는데요. 그 중 하나인 천체관측설을 소개하겠습니다.

    <천체관측설>

    농경(農耕)사회였던 고대에는 별들의 움직임을 관측하는 일이 매우 중요했을 것이다.

    이러한 필요성에 따라 우주와 천체의 움직임을 관측하고 연구하는 도구로서 바둑이 발명되었다는 설이 제기되고 있다.

    특히 고대문명의 발상지이기도 한 황하유역에는 해마다 홍수가 범람하여 선사시대 때부터 자연스럽게 천문학이 발달할 수 밖에 없었는데, 당시 하늘의 별자리를 표시하던 도구가 발전되어 오늘날의 바둑이 되었다는 설이 과학적인 설득력을 얻고 있다.


  • 안녕하세요. 조그만낙타99입니다.

    고대 중국에서 발명된 이래 한국과 일본에 전파되어 일부 상류층 사이에서만 행해지던 바둑이 본격적으로 근대적인 게임의 토대를 갖추게 된 것은 중세 일본에서부터라고 할 수 있습니다 .

    일본 막부(幕府)시대에 바둑은 국기(國技)로 적극 지원을 받으면서 바야흐로 르네상스를 맞게 된다. 바둑을 업(業)으로 삼는 기사(棋士)제도와 본인방(本因坊)등의 바둑가문이 생기고, 이들에 의해 룰이 정비되며 각종 이론, 정석이 태어나는 등 비로소 근대경기로서의 틀과 체계가 세워졌던 것이다. 그리고 20세기에 이르러 가문세습제도 대신 협회(일본기원)와 프로제도가 탄생하고, 신문사들이 기전의 스폰서로 나서면서 오늘날 현대바둑의 틀을 갖추게 됩니다.

    한편, 한국에서는 현재의 바둑과는 달리 돌들을 미리 배치하고 두는 고유의 순장(巡將)바둑이 20세기 초반까지 성행했는데, 현대바둑이 도입된 것은 해방후 일본에 바둑유학을 다녀온 조남철 九단의 의해서이다. 특히 현대바둑 보급에 일생을 바친 조남철 九단의 선구적 노력에 힘입어 당시까지만 해도 한량들의 잡기 취급을 받던 바둑이 오늘날 본격적인 정신스포츠로 자리매김되기에 이르렀습니다.

    출처 : 한국기원


  • 안녕하세요. DTR동이입니다.

    바둑의 기원이 중국의 요순시대까지 거슬러 올라간다면 바둑의 역사는 무려 4천 년에 이른답니다. 네모난 판 위에 검은 돌과 흰 돌을 놓는 게임인 뿐인 것 같은 바둑이, 어떻게 이토록 오랜 세월 동안 사라지지 않고 지속되어 온 걸까요? 그것은 바둑이 인류가 만들어 낸 지혜로운 놀이이기 때문입니다.

    ​바둑은 지금까지도 인류의 소중한 문화유산으로 여겨지고 있어요. 그만큼 바둑은 단순한 놀이의 차원을 넘어, 우리에게 인생의 소중한 문화유산으로 여겨지고 있어요. 그만큼 바둑은 단순한 놀이의 차원을 넘어, 우리에게 인생의 지혜를 알려 주는 배움의 도구로 인식되어 왔다고 할 수 있지요. 따라서 잇님들도 바둑을 열심히 배운다면, 지혜롭고 현명한 사람이 될수 있다고 생각됩니다.


  • 안녕하세요.

    사실 현재까지 바둑의 기원에 관해서 이것이 정답이다 라고 밝혀진 것은 없습니다. 다만 몇가지 설이 있는데 다음과 같습니다.

    아 그리고 처음 시작된 나라는 중국이라는 것이 가장 유력하며 거의 굳어진 듯 합니다.

    첫번째 설 : 요순 창시설.

    가장 널리 알려진 가설이며 중국의 고대 임금이었던 요(堯)·순(舜)임금이 아둔했던 아들인 단주(丹朱)와 상균(商均)왕자를 슬기롭게 만들기 위해 창시했다는 가설입니다.

    그것을 증명하는 것으로는 중국의 고전 박물지(博物誌)와 설문(說文)이 있는데 박물지에 실린 '요조위기 단주선지(堯造圍棋 丹朱善之)'라는 문구에 따르면 기원전 2300년전 요왕이 아들을 위해 바둑을 발명했다는 내용이,설문(說文)에는 기원전 2200년경 순왕이 아둔한 아들에게 바둑을 만들어 가르쳤다고 밝히고 있습니다. 또 중흥서(中興書)에도 '요순이교우자야(堯舜以敎愚子也)'라는 글이 전해지고 있습니다.

    두번째 설 : 천체 관측설
    바둑이 우주, 천체를 관찰, 연구하는 도구로서 발명되었다는 가설입니다. 농경사회였던 고대에는 별들의 움직임과 날씨등을 예측하는 일이 매우 중요시 되었는데 이러한 일에 사용된 도구가 바둑이었다는 가설입니다. 4대문명 발상지인 황하유역에서 홍수를 피하기 위해 별자리 및 천체를 연구했고 당시 하늘의 별자리를 표시하던 도구가 바둑이라는 내용입니다.

    세번째 설 : 우 칭위엔설
    중국의 바둑 9단인 우 칭위엔(吳淸源)이 주장하는 가설인데 쉽게 설명한다면 첫번째 가설인 요순 창시설과 두번째 가설인 천체 관측설이 합해진 것입니다. (더 어렵나요? -_-;;)

    다시말해 요 임금이 아들 단주에게 천문을 연구하는 도구로써 바둑을 가르쳐 줬을 것이라는 가설입니다. 당시 왕자로서 여러가지를 배우고 익히던 단우에게 천체와 역학등을 가르치면서 그에 대한 하나의 방법으로 바둑을 이용했다는 가설입니다.

    이상 3가지 가설 중 하나가 바둑의 유래로 보고 있으며 3가지 가설 모두 중국을 배경으로 하니 처음 시작한 나라는 중국인 것 같네요. ^^;


  • 안녕하세요. 나는어디로입니다.

    바둑의 기원은 정확히 밝혀져 있지 않지만, 고대중국 전설상의 제왕인 3황5제 때에 만들어졌다는 이야기가 있다고 합니다.

    5세기~7세기 사이에 삼국시대에 소개되었으며, 순장바둑이라는 형태로, 1950년대 현대바둑이 유행하기 전까지 성행하였다고 합니다.


  • 안녕하세요. 심각한가마우지119입니다.

    바둑의 기원에 대해서는 문자가 생기기 이전 4,300여 년 전에 만들어졌다고 전해지고 있으나 확실한 고증은 없어요.

    그러나 일반적으로 <박물지>에 전하는 기록이 가장 오래된 것이에요.

    중국의 장화가 지은 <박물지>에 의하면 요나라 임금이 바둑을 만들어 아들 단주를 가르쳤다고 합니다.

    그리고 순나라 임금이 아들 상균의 어리석음을 깨우치기 위하여 바둑을 가르쳤다고 했어요.

    또 바둑이 지혜있는 자가 아니면 잘 할 수가 없다고 했어요.

    놀이수단인 바둑이 미숙한 청소년을 교육시키기 위해 만들었다고 강조한 것은 바둑의 교육적 가능성을 인정한 것으로 볼 수 있어요.

    그리고 논어에도 공자가 이르기를 "바둑 두는 것이 아무 일도 하지 않는 것보다 어진 일이다."라고 했고

    맹자는 "바둑이 대단한 것은 아니지만 최선을 다하지 않으면 잘하기 어렵다."고 했어요.

    또, 맹자는 나라에서 바둑을 제일 잘 두는 사람은 다들 누구인지 알고 있고, 바둑 때문에 부모 봉양을 소홀히 하는 사람도 생겼다고 했어요.

    이로 보건대 그 당시에 바둑이 많이 보급된 걸 알 수 있고, 바둑이 처음 두어지기 시작한 시기는 지금으로부터 최소한 2,500년 전이라고 할 수 있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