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생물·생명 이미지
생물·생명학문
생물·생명 이미지
생물·생명학문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03.20

사람은 왜 꿈을 꾸게 되는건가요?

꿈은 왜 꾸는 걸까요? 꿈은 아는 사람들이 나올 때도 있고 모르는 사람들도 나오는데 어떻게 그렇게 되나요 아는 사람이 나오는건 이해가 되는데 모르는 사람이 나오는게 신기해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6개의 답변이 있어요!
  • 공정한백로247
    공정한백로24723.03.21

    안녕하세요. 한 과학전문가입니다.

    정말 어릴때부터 저도 궁금했습니다. ^^

    꿈은 여러 가지 이론이 제시되고 있지만, 아직 정확한 원인은 밝혀지지 않았습니다. 하지만 일반적으로는 뇌의 활동과 관련된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뇌에서는 꿈을 꾸면서도 여러 가지 활동을 하고 있는데, 이는 뇌파, 신경 전달물질, 호르몬 등의 활동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이러한 뇌의 활동 중 일부는 우리가 일상 생활에서 경험한 것을 기반으로 꿈을 꾸게 만들어 줍니다. 예를 들어, 어떤 사람을 오랫동안 보면 그 사람이 꿈에 나올 수 있고, 어떤 상황에서 스트레스를 받으면 그와 관련된 내용이 꿈에 나올 수도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학영 과학전문가입니다. 꿈은 우리가 잠자리에 누워서 뇌가 활발하게 작동할 때 발생하는 현상입니다. 꿈을 꾸게 되는 원인에 대해서는 여러 가설들이 제시되고 있습니다.

    가장 널리 받아들여지는 이론 중 하나는 꿈이 뇌가 일상에서 처리하지 못한 정보를 정리하고 저장하는 과정에서 발생한다는 것입니다. 우리의 뇌는 매일 아주 많은 양의 정보를 처리하고, 이러한 정보 중에는 중요한 것과 중요하지 않은 것을 구별하여 기억에 저장합니다. 그러나 이러한 정보가 모두 기억에 저장되는 것은 아니며, 중요하지 않은 정보는 삭제됩니다. 이 과정에서 일부 정보는 잠재의식적으로 저장되어 꿈에서 다시 한번 처리되는 것으로 추측되고 있습니다.

    또한, 꿈은 우리가 경험한 일들을 복기하는 과정에서 발생할 수도 있습니다. 꿈에서 나타나는 상황들은 일상에서 우리가 경험한 상황들과 유사하거나 관련성이 있는 경우가 많습니다.

    뇌에서 발생하는 화학적인 변화와 관련된 가설도 있습니다. 잠자리에서 우리의 뇌는 몇몇 화학물질의 분비를 조절하면서 작동합니다. 이러한 화학물질들이 꿈의 내용을 형성하는 데 영향을 미치지 않을까 추측되고 있습니다.

    하지만 아직까지 꿈의 정확한 원인은 확실히 밝혀지지 않았습니다. 이러한 이유로 인해 꿈은 여전히 신비로운 현상 중 하나로 남아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재훈 과학전문가입니다.

    꿈은 우리가 수면 중에 뇌의 일부가 일부분 깨어있는 상태에서 기억이나 정보를 무작위로 자동적으로 재생하는 현상입니다. 이러한 상태에서 우리는 종종 다양한 상황이나 장면을 경험하며, 이를 통해 우리의 무의식적인 욕망, 감정, 경험 등을 표현하기도 합니다. 또한, 잠꼬대는 수면 중 뇌의 일부가 깨어 있어 발생하는 현상으로, 우리가 무의식적으로 어떤 상황이나 감정을 경험하면서 발생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꿈은 우리 뇌에서 나오는 활동 중 하나입니다. 우리는 수면 상태에서 꿈을 꾸게 됩니다. 꿈은 수면 중 뇌가 경험한 것들을 처리하고 재생산하는데, 이는 뇌의 작동 과정에서 발생하는 것입니다.

    뇌는 수면 중에도 계속해서 활동을 합니다. 이 때 뇌는 경험한 것들을 기억하고, 이를 처리하고, 새로운 기억을 생성하며, 정리합니다. 이 과정에서 뇌는 생각이나 이미지를 생성하는데, 이러한 이미지가 꿈의 형태로 나타납니다.

    또한 꿈은 우리가 경험한 것들을 다양한 방법으로 재구성하는데, 이는 우리가 경험한 일들을 이해하고, 기억하고, 학습하는 과정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꿈은 우리 뇌의 기능적인 측면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며, 우리가 경험한 것들을 재생산하고, 처리하고, 학습하는 과정에서 필요한 것입니다.

    그러나 꿈은 우리가 실제 경험하는 것과는 다른 형태로 나타날 수 있기 때문에, 꿈을 해석하는 것은 쉽지 않습니다. 꿈이 어떤 의미를 가지는지를 해석하는 것은 개인적인 경험과 상황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박준희 과학전문가입니다.


    인간의 뇌는 잠을 자는 상태에서도 일부 깨어있기 때문에 머리에 있는 기억과 정보를 무작위로 재생하고 무의식 상태에서 말을 하거나 몸을 뒤척이게 됩니다.


    꿈은 뇌에서 발생하는 시각적 심상이라고 할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잠이 들면 90분 후에 첫 번째 꿈을 10분 정도 꾸기 때문에 8시간 기준 5개 정도의 꿈을 꾼다고 하네요. 하지만 꿈에대해 기억하는건 극소수라고 합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류경범 과학전문가입니다.

    꿈이란 잠자는 사람이 시간의 경과에 따라 저절로 진전되는 이야기 내용을 시각적으로 경험하는 것이라 정의할 수 있습니다.

    꿈은 수면이 진행되면서 중추신경 내부의 흥분성이 저하되고 뇌의 여러 영역에서 생기는 흥분들이 유기적으로 전달되지 못해 결과적으로 뇌의 통일화된 활동상태가 해체되는 해리상태에서 일어나는 생리적인 현상입니다.

    꿈에서 알지못하는 또는 처음 보는 사람을 보게 되는 것 또한 이러한 뇌의 활동에서 무의식적으로 만들어지는 것 들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