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문
과거 왕의 어진에서 사용된 배채법이란 무엇인가요?
과거 왕의 어진을 그릴때 사용했던 방법 중 하나가 배채법이라고 하는데
배채법은 무엇이며, 배채법을 사용한 어진은 어떤 왕의 것인지 알고싶습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3개의 답변이 있어요!
안녕하세요. 임지애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 조선후기 초상화에서 사용된 배채법이란 초상기법은 피부의 다양한 빛깔과 작은 점 머리 속에 박혀서 은은히 보이는 옅은 털뿌리까지 표현하기 위한 극사실적인 동양화에서의 초상기법입니다.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배채법은 조선 시대 대부분의 왕의 어진 뿐 아니라 불교가 융성한 고려시대 불화, 조선시대의 주요 인물 초상화에 쓰인 회화기법 입니다. 불교가 억압받던 조선 시대 불화에는 일반적으로 활용되지 않은 것으로 알려져 왔는데 배채법은 종이나 비단의 뒷면에 안료를 입혀 색감이 화면 앞으로 은은하게 배어 나오게 하는 기법 입니다.
안녕하세요. 이태영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배채법은 조선시대 초상화의 대표적인 기법으로, 화견(畵絹) 뒷면에 채색을 올려 앞면에 은은하게 비치는 색감을 표현하는 기법입니다. 이 기법은 인물의 얼굴과 의복의 질감을 사실적으로 표현하는 데 효과적입니다.
조선시대 초상화 중 가장 오래된 것은 태조의 어진으로, 전주 경기전에 모셔져 있습니다. 태조 어진은 배채법으로 그려진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또한, 숙종, 영조, 정조, 순조, 고종 등 조선의 모든 왕의 어진은 배채법으로 그려진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