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기타 의료상담 이미지
기타 의료상담의료상담
기타 의료상담 이미지
기타 의료상담의료상담
늠름한봉고112
늠름한봉고11220.12.07

코로나 치료제가 없는데 치료방법은?

코로나로 인해 고생하시는 의료진 여러분들

감사드립니다.

코로나로 인해 힘든 시기를 겪고 있는 우리

아직까지 백신이나 치료제가 없어 사망자까지

속출하고 있는 지금

치료제가 없다고 알고있는데 코로나 바이러스에

감염 되었을경우 치료방법은 어떻게 되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5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최연철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잘 알고계신 것처럼 아직까지는 코로나19를 타겟으로하는
    치료제(항바이러스제)가 개발되지 않은 상황입니다.

    그렇지만 많은 바이러스 감염(예를들어 감기)이
    해당 바이러스에 대한 치료제가 없어도
    시간이 지나면 증상이 좋아지는 것을 봐 오신 것처럼,

    코로나19 역시 우리 몸의 면역체계가 바이러스를 이겨내는 것입니다.

    (환자의 상태와 의료진의 판단에 따라 렘디시비르, 혈장치료 등이 시도되기도 합니다)

    병원에서의 치료는 몸에서 바이러스를 이겨낼때까지
    동반되는 증상(기침, 열, 인후통 등)들을 조절하고,

    중증일 경우에는 인공호흡기, 에크모, 승압제와 같이
    바이러스를 이겨낼때까지 생명을 유지하는 치료를 합니다.

    도움이 되었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정진석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코로나라고 해서 모두 감염되어 사망하지 않습니다. 중증 환자 및 일부 사람들에게서는 합병증 및 호흡기 질환으로 사망하나 대부분은 감기처럼 지나갈 수 있습니다. 현재 다양한 글로벌 기업에서 코로나 백신 개발 및 보급에 힘쓰고 있으니 조금만 기다려주세요

    아무쪼록 저의 답변이 문제 해결에 작게 나마 도움이 될 수 있기를 기원드립니다. 항상 건강하고, 행복하세요^^

    정진석 치과의사 드림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서민석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코로나 바이러스에 감염이 되어도 증상이 없거나 가벼운 경우는 특별한 치료가 없어도 잘 회복이 된답니다. 대부분의 바이러스 질환은 특별한 치료가 없어도 면역이 괜찮은 경우는 잘 치료가 되지요. 문제는 평소 면역력이 떨어져 있는 만성 질환자나 노인들의 경우에는 중증으로 진행하는 경우가 많아서 사망까지 이를 수가 있어서 조심해야 하지요. 중증 환자에서 증상을 경감시킬 수 있는 치료에 대해서는 열심히 연구가 진행중인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그리고 우리나라는 아직 사망자가 속출할 정도는 아니니 너무 염려하지는 않으셔도 될 듯 합니다.

    서민석 드림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이효상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엄밀히 말하면 아주 긴 이야기가 될것같아 간단하게 설명드리자면,

    코로나치료제가 없기 때문에 대증요법을 진행합니다.

    대증요법(증상에 대항함)이라함은 코로나바이러스 자체를 사멸시키는 것이 아니라, 코로나바이러스에 걸렸을때 나오는 증상들만 그때그때 제어하는것을 의미합니다.

    예를들어 코로나에 걸렸을때

    열이 나면 => 해열제를 투여하여 열을 낮추고

    기침이 나면 => 진해제(기침억제제)로 기침을 멈추게 하고

    이런식으로 그때그때 발현되는 증상들을 억제시켜 가면서

    우리 몸의 면역체계가 스스로 코로나바이러스를 치료하도록 시간을 버는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김선익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현재 코로나19 감염은 감염력이 예상보다 강하여 펜데믹 상황이 장기화되고 있습니다.

    현재는 코로나19의 증상에 대한 대증적인 치료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결국에 혈장치료제와 더불어 효과 있는 백신이 개발되어야 종결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원래 백신 개발에는 평균 10년이상의 장기간이 소요됩니다만, 현재 백신 개발속도를 봐서는 내년 상반기 늦어도 후반기까지는 백신이 상용화 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이는 어디까지나 예상일 뿐이며 백신의 효과나 부작용, 그리고 코로나19 바이러스의 변종 발생 등 변수가 있기 때문에 방역 수칙을 잘 지키며 추후 경과를 봐야할 것으로 사료됩니다.
    코로나19 감염으로 모두가 힘든 시기인 만큼 건강에 더욱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답변이 되었길 바랍니다.